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부부냐, 국민이냐 이제 결단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한 대표는)'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야 한다', '민심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더니 김건희 특검을 반대한다"며 "겉 다르고 속 다른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원내대표는 "마음에 들지 않으면 직접 김건희 특검법을 발의하면 되는데 특검법 발의는 하지도 않고 반대만 하고 있다"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 한 대표의 이율배반적 언행은 국민을 속이고 있다는 점에서 검찰의 거짓말과 판박이"라고 꼬집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 절대다수가 찬성하고 있는 만큼, 특검에 적극 협조하는 게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언행일치"라며 "인적 쇄신이나 대외활동 중단, 의혹 규명 협조는 미래의 죄를 막기 위한 것이지 과거의 죄를 덮는 수단이 될 수도 없고 돼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도부에선 김건희 여사를 비롯해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정숙 여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부인인 김혜경 여사 관련 의혹을 규명할 이른바 '3여사 특검'을 제안해달라는 주문이 나왔다.
친윤(친윤석열)계인 국민의힘 김민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대화가 있는데 야당에서 '김건희가 죽어야 한동훈이 산다', '김건희가 살면 한동훈이 죽는다' 등의 다양한 발언이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을 만나면 김건희 특검을 받아들이는 대신 김정숙ㆍ김혜경 여사에 대한 특검을 하자고 제안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 최고위원은 "김건희 특검의 경우 이미 국감에서 이창수 중앙지검장도 나와서 기소하는 것이 오히려 정치적인 것이라고 얘기할 정도로 자신이 있는 듯 보였고 이성윤 의원은 본인이 2만4000페이지의 수사 기록을 남겼다고 얘기했다. 그럼에도 기소하지 못했다면 무엇이 두려울 것이 있는가 얘기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에게)야당의 김건희 특검을 받길 부탁하시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대신 우리도 상설특검법을 이용하면 법무부 장관이 특검을 임명, 시작할 수 있다"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 부인인)김혜경 여사는 잘 아시다시피 현재 재판을 받는 카드는 200분의1도 되지 않는 작은 부분이고 더 큰 부분은 법카를 사용한 게 아직 기소되고 있지 않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특검을 안 해선 안 된다. 안 하는 것은 역사의 죄"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인)김정숙 여사도 마찬가지다. 타지마할을 가는 데 3억원 이상의 국가 예산을 사용한 걸로 알려졌다"며 "타지마할을 동남아 순방 이후에 막바로 가면서 여성 외교관이 과로로 쓰러져서 일어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정숙은 수많은 옷과 장신구, 한복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돈을 사용한 걸 잘 알고 있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국가 예산이 이렇게 낭비돼선 안 된다"며 "두 김 여사 뿐 아니라 그러니깐 세 김 여사에 대한 특검을 실시할 것을 요청하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지도부에선 김 여사 논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친한(친한동훈)계인 장동혁 최고위원은 "오늘 대통령과 한 대표의 면담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있었다는 기사로 채워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가 공개적으로 요구했던 김 여사 관련 대통령실 인적 쇄신, 대외활동 중단, 의혹 규명 협조 등을 윤 대통령이 수용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역시 친한계인 김종혁 최고위원도 "민주당이 폭거를 아무렇지 않게 자행할 수 있는 것은 김 여사를 앞세우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의 반민주 폭거에 우리 당과 지지자들이 당당히 맞설 수 있도록 (오늘 만남에서)근본적인 대책이 나와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