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최다선-최고령' 관례 막기 위해 국회의장 경선 룰 변경
국회의장 출마를 공식화한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22일 "'명심'은 당연히 저 아니겠냐"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번 총선을 통해 6선 고지에 오른 조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와도 교감 했냐'는 진행자 질문에 "이 대표께 말씀드렸더니 '열심히 잘하라'고 하시더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번 총선 민심을 요약하면 첫 번째는 정권 심판, 두 번째는 민생경제 회복"이라며 "그래서 이번 6월부터 시작될 22대 국회는 민심을 제대로 대변하고 실천하는 개혁국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회의 최다선으로서 국민의 뜻을 실천하는 개혁국회를 만들기 위해서 국회의장에 나서게 됐다"며 "결국은 누가 가장 준비된 후보인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민주당 사무총장으로 지난주에 사무총장을 내려놓기까지 1년 8개월을 이 대표와 지도부와 함께 했었다"며 "그 기간에 검찰 독재, 용산 권력의 횡포에 맞서서 당을 지켜냈고, 이번에 혁신 공천을 끌어내면서 민주당 총선 승리에 기여하고 일조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이번 22대 국회를 개혁국회로 만들고 총선 민의를 받드는 데 있어서는 제가 가장 적임자라고 확신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조 의원이 강조하는 '명심'이 오히려 그의 국회의장 도전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그의 강성 발언 등으로 여야 협치가 어려워질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리면서다.
실제 조 의원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입법의 게이트키퍼인 법사위원장과 국회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운영위원장을 민주당이 해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법사위원회와 운영위원회는 압도적 과반을 달성한 민주당이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1대 국회를 회고해 보면, 민주당이 180석을 갖고 뭘 했느냐는 지지자들의 지탄이 있었다"며 "입법 성과가 줄줄이 막혔던 이유는 대통령의 거부권과 법사위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조 의원이 국회의장이 되면 의장직은 물론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까지 모두 민주당이 독식하는 사태를 방관하거나 되레 지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민주당은 국회의장 경선에서 기존과 다른 ‘결선 투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의장과 부의장 후보자는 최고 득표자를 당선자로 한다’고 돼 있는 현행 당규를 과반 득표자로 바꾸자는 것이다.
선수와 나이순으로 국회의장직을 차지하는 기존 관례에 따르면 6선 최고령인 추미애 전 장관이 추대돼야 한다.
하지만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선 같은 선수의 조 의원을 전반기 의장으로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추 전 장관보다 조 의원이 안정적으로 국회를 운영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다수”라며 "이를 위해 룰 변경까지 고려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룰 변경'이 성사된다면 추 전 장관은 1차 투표에서 1위를 하더라도 현재 의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정성호, 우원식, 김태년 등 5선 친명계 의원들이 조 의원과 단일화할 경우 결선 투표에서 이를 뒤집을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