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특위, 단일지도체제. 결선투표 유지하기로...전대룰은 확정 못해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6-12 14:54:5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당원 100% 투표' 바꾸기로...여상규 "전대룰, 새 지도부에서 결정해야"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 당헌ㆍ당규특별위원회(특위)가 12일 현행 당 대표 단일 지도체와 결선 투표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정했지만 새 지도부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 규칙 등에 대해서는 비상대책위원회에 공을 넘겼다.


다만 현행 ‘당원 100% 투표’ 여론조사 반영 비율은 허무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특위는 단일지도체제, 부대표를 두는 복수 지도체제, 집단지도체제 등을 많이 논의했지만 전당대회까지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하는 특위에서 결정하지 못했다”며 “새 지도부에서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심도 있게 논의해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또 대통령 경선에 출마할 경우 1년 6개월 전 당 대표 등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현행 당권ㆍ대권 분리 당헌당규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일각에서 한 전 위원장 등 대권 주자의 전당대회 출마를 위해 당헌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황우여 비대위원장 등 당 중진을 중심으로 사당화 방지 등으로 당헌 개정에 반대 목소리가 거셌다.


이에 따라 7월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새 당 대표가 2027년 3월3일로 예정된 21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선 2025년 9월 전에는 대표직에서 사퇴해야 한다.


이번에 선출된 새 당 대표는 2026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특히 관심이 쏠린 현행 당원투표 100%로 치러지는 지도부 선출방식은 민심을 반영하는 일반여론조사를 도입하기로 했다.


여상규 위원장은 “특위 위원 7명 중 3명이 (여론조사 비중)30%에 찬성하고 나머지 4명 중 3명이 20% 반영안에 찬성했고 한 분은 중립이었다”며 “이 결과에 따라 비대위원회에 (당심 대 민심)8대2안과 7대3안 두가지를 각각 반영한 당헌당규 개정 초안을 넘기기로 했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특위로부터 보고를 받은 후 당헌·당규 개정 논의를 한 후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이번 전대에 적용할 룰과 지도체제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되면서 한 전 위원장의 등판 여부에 다른 당권 주자들의 출마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국민의힘에서는 한 전 위원장외에도 나경원ㆍ안철수ㆍ윤상현ㆍ조경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이 당권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