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번 사태로 전교조의 해직 파동이후 해직, 파면 등 최악의 대규모 퇴출이 예상돼 상당기간 후유증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공노측은 이날 오전 파업 참가 상황을 파악한 결과, 총 77개 지부에서 4만4309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공노의 총파업에 대한 비난 여론이 워낙 거센데다 정부가 경찰력을 동원, 파업을 원천봉쇄하고 있고 파업 포기 지부가 속출해 대규모 파업으로 번질 가능성은 적고 국지적인 파업양상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이번 파업에 대비, 전국 자치단체별로 업무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체인력을 확보하고 있어 민원처리 지연 등에 따른 행정 공백 현상은 예상보다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공노도 비난여론을 의식, 국민생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건, 상하수도, 청소 업무를 담당하는 조합원은 이번 파업에서 일단 제외시키고 있다.
파업 첫날 경기지역 17개 전공노 지부에서는 집단 결근 등의 사태는 아직 없고 인천지역도 14일 상경투쟁을 벌인 조합원들을 제외하고는 정상출근, 우려했던 행정공백 현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서울 시내 관공서도 우려했던 대규모 파업 참가로 인한 업무 공백이 빚어지지 않고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지역=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가 15일 오전 9시를 기해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한 가운데 서울 각 구청은 파업에 따른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년퇴직자 등 대체 근무자를 지정하는 등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강북구청은 전공노 조합원 756명가운데 간부급 20여명만이 연가원을 내고 파업에 참가했다.
노조 관계자는 “일단 대의원을 중심으로 파업에 참여했고 현장파업 지침을 받았기 때문에 업무공백은 없었다”며 “하지만 오후에 있을 집회에 참여한다면 연가나 퇴근하는 방식으로 3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강북구청은 파업참가자가 100명이 넘어가면 정년퇴직자를 대체근무 시키고 민원부서 경력이 있는 직원들을 민원실에 배치할 계획이다.
관악구청은 지부장 1명만 결근한 상태로 출근을 하지 않은 조합원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관악구청 노조 관계자는 “지침이 오면 파업에 참가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재로서는 개별적으로 참가할 수 밖에 없어 사실상 파업을 접은 상태”라고 말했다.
전공노 정용해 대변인은 “파업 가담이 예상보다 저조한 이유는 정부의 막무가내식 탄압때문”이라며 “정부가 대화로 응한다면 파업 철회 여부를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경기 지역= 파업첫날인 15일 경기지역 17개 전공노 지부에서는 집단 결근등의 사태는 발생하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소속 조합원 1250명의 52%인 650명이 집단연가를 제출했던 안산시지부는 당초 우려와 달리 노조 집행부 17명이 무단결근했으나 나머지 조합원들은 정상출근했다.
노조는 총파업투쟁을 위해 이날 오전 9시 초지동 화랑유원지로 집결할 것을 전 조합원들에게 통보했으나 현장에는 단 한명도 나타나지 않아 파업투쟁은 무산됐다.
오산.화성시지부에서는 지난 9일 파업찬반투표때 경찰에 체포됐던 10명이 현재 연락이 두절된채 출근하지 않고 있으며 시흥시지부에서도 6명이 현재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청지부도 노조 핵심간부 5명 가량이 연락이 두절됐지만 이번 전공노 총파업과 관련해 결근을 하거나 연가를 낸 공무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이날 오전 8시10분께 전공노 고양시 지부 안모(37), 이모(31.여) 조합원2명이 ‘공직사회 개혁하자’라는 문구가 적힌 보드판을 들고 서 있다 경찰에 체포됐다.
도내 각 시.군은 직원들의 출결사항을 긴급 점검, 결근자에 대해서는 정부의 징계방침에 따라 징계위원회에 회부할 방침을 세우고 있다.
경찰은 도내 14개 지부에서 109명이 결근 등 총파업 동참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들이 불법행위를 할 경우에는 즉시 현행범으로 체포할 방침이다.
◇인천 지역= 파업강행 첫날인 15일 오전 전공노 인천지부 소속 일부 공무원을 제외하고 인천시를 비롯한 산하 구직원 대부분이 정상근무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14일 전국노동자대회에 상경투쟁을 벌인 48명을 포함, 전체 조합원(4520명)중 168명이 파업을 위해 결근한 것으로 이날 오전 10시 현재 잠정집계했다.
그러나 당초 예상과는 달리 전공노 소속 공무원들의 동료직원에 대한 출근저지나 근무방해 등의 행위는 보이지 않았다.
지난 12일부터 연가를 일체 불허한 시는 이날 무단 결근자에 대해서도 파업참가를 위한 결근으로 보고 중징계 방침을 확정, 현황파악에 나섰다.
인천지방경찰청도 공공기관 주변에서 공무원의 출근을 막거나 정상근무를 방해하는 행위를 하는 공무원노조 조합원이 있을 경우 현장에서 체포키로 했다.
또 자연정화 활동, 노력봉사, 토론회 등 합법을 가장, 특정장소에 모여 정상근무를 회피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도 현행범으로 체포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이를 위해 전.의경 8개 중대를 전공노가 설립된 인천지역 7개 구(중구,옹진군, 강화군 제외)에 배치했다.
시 관계자는 “총파업으로 인한 징계로 생기는 결원은 곧바로 절차를 밟아 충원에 나설 것”이라며 “비교적 강성을 보인 남동구의 일부 공무원들이 근무지를 이탈하고 있으나 대부분 정상출근한 상태”라고 말했다.
/최용선 최원만 문찬식 기자 cys@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