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노동계에 따르면 행정자치부, 외교통상부 등 11개 중앙부처 직협 회장단 11명이 지난달 30일부터 오는 9일까지의 일정으로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해외연수’를 떠났다.
행자부는 이번 연수의 목적이 외국의 공무원노조에 대한 현지 견학을 통해 우리 공무원노조의 원활한 정착 방안을 모색하고 공무원노조 합법화에 대비해 건전한 노조 육성과 직협회장 상호간의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수 일정은 호주 노동부와 공공노조(CPSU), 뉴질랜드 인사원과 공무원노조(PSA) 등을 둘러보는 것으로 짜여져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중앙부처 직협 회장단 해외연수가 시·군·구 등 지방 공무원이 주축인 전공노의 파업 이후 대량 징계가 이뤄지는 가운데 진행되고 있어 노동계의 눈총을 받고 있다.
해외 연수가 `관광성’ 프로그램으로 짜여진데다 중앙 공무원과 지방 공무원간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공노 관계자는 “행자부가 주관하는 10일간의 연수일정 중 공식 연수 프로그램은 10시간에 불과해 연수라기보다 관광성 외유에 가깝다”며 “공무원노조에 대한 탄압이 이뤄지는 시점에 맞춘 점도 지방·중앙공무원간 갈등을 부추기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 이형구 의정관리국장은 “이번 직협 회장단 연수는 정부 예산을 책정받아 수개월 전부터 계획된 것”이라며 “전공노 사태와는 전혀 관계도 없고 공무원노조에 대한 숨은 의도도 없다”고 말했다.
/최용선 기자 cys@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