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는 이날 성명서에서 “교수 시절 개혁 성향의 학자로 평가받던 김대환(55·전 인하대 교수) 노동부 장관이 공무원노조를 포함한 노동계에 대한 최근 행동이 학자 시절의 개혁적 소신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에 대해 지난 3일 민교협에서 경고 조치를 하고 이어 오는 28일 열릴 중앙위원회에서 이들의 제명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 땅의 양심은 사라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환영의사를 밝혔다.
전공노 관계자는 “김대환 노동부장관은 민교협에서 어떤 위치를 점했던 사람인가. 창립 멤버로서 이 단체를 대표하는 위치에 서 있었던 사람 아니냐”며 “그런 사람이 권력의 단맛에 취해 노동계에 대한 폄하발언은 이제 씻을 수 없는 역사의 망언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앞서 3일 민교협은 김 장관에 대해 경고하면서 “김 장관이 비정규직의 양산을 가져올 노동 관련 법안을 주도적으로 발의하고, 노동기본권 보장을 요구하는 공무원노조를 탄압하는 데 앞장선 것은 우리 사회의 민주화와 노동자·민중의 권리 신장을 위해 활동해온 민교협의 명예를 훼손한 것으로 규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1987년 ‘6월항쟁’의 산물인 민교협은 사회 민주화를 위해 많은 공헌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는 단체로 노동자, 농민 등 소외 계층과의 연대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서 왔다.
/최용선 기자 cys@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