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사건서 찾은 교훈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5-01-13 21:03: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 대 일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신년 벽두를 장식한 지하철 방화사건으로 주위가 온통 어수선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고의 여진이 가라앉기는커녕 시의 안전불감증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점점 더 거세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지난해 이번 사건의 원인과 똑같은 ‘방화에 의한 화재’로 시작된 대구 지하철 화재사건의 악몽이 겹쳐져서 시민 충격의 강도를 높여주고 있다.

시민들은 당시의 무고한 희생을 떠올리며 충격과 분노에 휩싸이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의 경우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지만 자칫 했으면 또 한번의 아수라장이 충분히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늑장으로 진행되고 있는 당국과 관계기관의 전동차 내장재 교체와 허술했던 안전대책에 강도 높은 비난과 질타가 쏟아지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2년 만에 그간의 지하철 안전대책에 대해 중간 점검을 하게 된 점이다.

도시철도 공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동차 내장재 교체 시일을 앞당겨 2004년 436량 교체 완료에 이어 금년 안에 902량을 추가 교체하고 잔여 226량에 대해서는 우선 시급한 의자 및 바닥재 교체를 완료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아울러 통신시설이나 안전 시스템 점검 등 허점이 노출된 안전대책에 대해서는 철저히 분석, 보강하겠다는 약속을 시민들에게 했다.

당국 또한 예산지원이나 대책 강구에 힘쓰겠다고 또 한번 약속했다. 이번 사건이 당국이나 관계 기관에게 쓰디쓴 약이 되었기를 빈다.

지금까지 우리가 투자하고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전동차 내장제 교체나 안전 시스템 정비가 하드웨어적인 것이라면 나는 이제 좀 더 다른 얘기를 하고 싶다. 그것은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이고 시민정신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일어났을 당시 승객들은 혼비백산 옆 칸으로 피신했다. 그리고 철산역에서 문이 열리자 우르르 한꺼번에 내리기 바빴다. 피신하고 불이라고만 외쳤지 승객 어느 누구도 소화기로 초동 대처하거나 열차 안에 기재된 종합 사령실에 화재 당시 불이 났던 상황을 정확히 전달하거나 신고에 적극적이었던 사람은 없었다.

나만 이 상황을 모면하면 됐지 남들의 안전은 상관없었고 더 큰 피해를 막는 것도 안중에 없었다. 그 위기 속에서 어느 누구도 시민정신을 발휘한 사람은 없었다.

이러한 상황이었다면 인명이 상하는 더 큰 불행으로 번지지 않은 것은 과히 행운이다.

관계기관과 당국의 약속대로라면 우리는 곧 선진국 못지 않은 안전 시스템을 갖춘 지하철을 갖게 된다.

30년 동안의 해묵은 오명을 벗게 되는 것이다. 불연재로 새롭게 갈아입은 전동차는 선진국 못지않은 시민정신을 갖춘 시민들이 이용했으면 한다.

공공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는 지혜롭고 용감한 서울 시민 말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