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구의회에 따르면 구의회 의원들은 국민들로부터 지역 이권 경쟁으로 비춰질 수 있는 오해의 부분을 소명함과 동시에 영등포역 정차의 당위성을 분명히 함으로써 ‘KTX 영등포역 정차’를 위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의원들은 “이 지역 시민들은 고속철도 이용으로 생활의 편익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으나 정작, 금년 4월 KTX가 개통되면서부터 일반 열차의 운행 횟수가 감소되고 KTX 이용을 위해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까지 가야 하는 불편이 가중돼 점차 철도 이용을 외면하는 시민의 증가로 이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고속철의 승차율은 당초 계획과는 달리 경부선 약 75%, 호남선 약 45%로 매우 저조하며, 한해의 적자도 1조5000억원의 수준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또한 의원들은 “우리의 ‘KTX 영등포역 정차요구’는 당초 고속철 도입의 취지를 무시한 지역이권 경쟁이 아닌 시민의 고속철 이용편의와 철도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대안의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길형 의장은 “지역 이권 때문에 7년 이상 시민에게 교통 불편을 주고, 천문학적 적자를 국민의 혈세로 부담하게 하는 실책을 범하지 않도록 ‘KTX 영등포역 정차’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한편 고속철도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단체인 ‘고속철시민모임(대표 배준호 한신대 교수)’도 최근 “‘KTX 영등포역 정차’는 간부직 축소, 아웃소싱에 의한 인건비 절감, 요금 현실화, 역사의 유휴부동산 활용 및 잠재 철도이용객 유인 등으로 철도공사의 유력한 수익증대 카드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고속철시민모임은 “KTX가 영등포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해도 광명역은 정상화 되지 않으며, 광명역이 제 기능을 발휘하는 데는 약 7년 안팎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현 상황에서의 영등포역 정차 반대는 한국철도공사의 합법적 경영개선 시도를 가로막는 억지로 인식될 수 있다”고 언론을 통해 지적한 바 있다.
/최용선 기자 cys@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