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이상수 전 의원의 경우 지난 2002년 대선자금 불법모금 혐의로 구속됐다가, 지난 광복절에 특별 사면되었다. 한화, 금호, SK, 현대자동차 등에서 32억6000만원의 불법정치자금을 모금한 혐의를 받고 1심에서 징역 1년형을 언도받고, 2심에서는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언도받았었다.
이 전 의원의 경우 사조직 결성 등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김기석 전 의원의 지역구인 부천 원미갑에 출사표를 던지고, 이 지역 선관위에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고 한다.
우리가 투명한 정치, 깨끗한 선거를 지향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재보궐선거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무주공산이 된 지역에 또 다시 불법모금 혐의로 구속되었다가 사면된, 이상수 전 의원이 돌아오는 것은 여우 떠난 골에 호랑이가 드는 꼴과 다름이 없다.
이 전 의원은 측근들에게 ‘내가 잃을 것이 뭐 있느냐, 나는 정치인이고 정치인은 국회에 있어야 한다.’며 당내 부정적인 여론을 정면 돌파할 것임을 여러 번 내비쳤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전 의원은 잃을 것은 없어도, 이 전 의원이 깨끗한 정치를 바라는 유권자들의 희망을 빼앗아 가는 악역을 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은 왜 모르는가?
사실 열린우리당의 내부 사정은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에서 불법정치자금 수수라는 큰 결함을 안고 있는 인사를 당선 가능성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공천하게 된다면, 당을 떠나 정치발전이라는 큰 관점에서 이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결국 이는 구태정치로 역사를 되돌리는 일이 될 것이며, 그 간의 개혁 주장이 모두 허구라고밖에는 볼 수 없다.
이러한 흐름에는 한나라당도 자유롭지 못하다. 과거 민의를 왜곡한 사건 등으로 국민의 심판을 받았던 사람이,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역에 과거의 명성만을 가지고 출마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만약 당에서 인지도 등만으로 이번 재보궐선거 지역에, 아무런 연고도 없는 사람을 전략공천 한다면, 이는 17대 총선의 민의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한나라당은 이번 10.26 재보궐선거에 겸허하게 임해야 할 것이다. 그 어떤 결과에도 민의로써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
한나라당은 무엇보다 당 내부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합리적인 후보를 공천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번 선거가 2007년 대선 승리의 견인차가 되도록 해야 한다. 자기 개혁 없이, 대통령과 여당이 죽을 쑤는 것에 대한 반사이익에만 기대는 구태정치를 더 이상 해서는 안 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