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난달 30일 발해의 옛 수도에 대한 유적지 보호 조례를 만들어 발해의 옛 수도 상경용천부를 복원하여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최근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이 약탈해간 발해 비석 ‘홍려정비’의 반환을 일측에 요구했다고 전해진다.
더불어 중앙정부 차원에서 옌볜(延邊) 조선족 자치주에 한국과 북한의 문화역사까지 포함하는 대형 문화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나선 것도 동북공정 계획과 깊은 연관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시도는 매우 몰염치하며 반역사적인 것임을 계속 지적해왔다. 2004년 8월 한중 외교차관 회담에서 중국은 고구려사 왜곡 문제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왜곡을 시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나는 이러한 불충분하고 애매한 협의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그런데, 중국이 발해의 수도를 복원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하고 일본의 발해 비석을 반환하려고 요구한다는 것은 고구려사에 이어 발해사까지 왜곡시켜 명백한 대한민국의 역사를 빼앗으려는 역사침략 행위라고 할 것이다. 중국 정부가 일본 정부의 역사왜곡에 대해 분개하면서 한편으로는 이웃나라인 대한민국의 역사를 왜곡 강탈하려는 시도는 대국(大國)답지 않은 얄팍하고 저급한 역사인식을 보여주는 행위이다.
중국은 급속히 발전해온 한·중의 신뢰와 협력관계와 동북아의 우호 협력을 훼손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중국이 제 나라의 이익만을 생각해 역사까지 왜곡한다면 누가 중국을 21세기의 중심 국가로 인정하겠는가!
이제 우리도 동북아의 역사문제에 대해 국가적이고 전략적인 대응과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다행스럽게 ‘동북아역사재단 설립법’이 지난 4월 국회에서 통과되어 동북아역사재단의 설립을 서두르고 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중국의 동북공정 및 일본의 역사왜곡,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략기구가 될 것이다.
가만이 앉아서 외교적 수사만 생각하다가 역사를 빼앗길 수 있다. 우리 정부가 중국의 고구려사에 이은 발해사 왜곡에 대해 철저하고 강력하게 대처할 것을 다시 한번 바라는 바이다.
위 글은 시민일보 6월 7일자 오피니언 5면에 게재됩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