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에 맡아온 생활 체육 배구연합회는 협회 사활 자체가 위태롭다는 반복되는 요청을 뿌리칠 수 없었던 것인데 지난해에는 프로 배구연맹이 독립하여 참으로 어려운 지경에 놓인 대한배구협회까지 떠맡게 된 것이다. 3개월 이상을 도피하다가 하는 수 없이 맡게 된 대한 배구협회는 잔여 임기가 끝날 때까지만 최선의 도움을 수행한 뒤 반드시 배구인이나 전문 배구 경영인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게 나의 신념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국회의원이나 기업 경영인들이 나와 비슷한 입장에서 끌려들게 되었을 터이고, 때로는 당해 단체에서 끌어당겨 눌러있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치인들의 체육 단체 진출은 조연에 머물러야 한다. 더욱이 상당수의 국민이 국민 생활체육에 가담하고 있는 실정에서, 또한 평소에 체육계와 특별한 관계도 아닌 인사가 현직 국회의원이자 정당인이라면, 이들 조직들을 반드시 선거에 끌어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리하여 선거가 끝나면 당해 체육 단체는 정치 지지 성향에 따라 분열하고 결국은 비극적 종말을 맞을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어찌 보면 본인만큼 스포츠계와 밀접한 정치인도 별로 없다. 학창시절 선수생활을 직접 경험하기도 하였고 대한 축구협회 수석 부회장을 다년간 수행하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금도 국회의원 축구 연맹 회장으로 활동 함으로써 줄곧 체육계와 인연을 맺어 살아온 입장이다. 그러나 지금의 나는 명백히 정파적 입장을 지니고 경쟁하는 정치인이기에 체육계에는 보조적인 입장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현실 정치인이 국민생활체육회장에 취임한다면 우리 배구계는 그로부터의 탈퇴를 엄중히 검토 할 수밖에 없게 될 것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우리 정치인 스스로가 설 자리 안 설 자리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사실을 또한 밝혀 참고가 되기를 당부하고 싶다.
정치에, 더욱이 내년도 대통령 선거에 이들 체육 단체를 맡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점에는 더욱이 정치인이 회장을 맡아서는 안 된다. 꼭 필요로 한다면 내년 대통령 선거 이후에 다시 체육계의 동의를 얻으라. 항상 상식에 맞게 처신하는 것이 정치인의 기본이어야지 이용 가치가 있을 법 하다하여 모조리 정치인들이 끼어든다면 우리 사회의 공정성과 중간적 평화지대가 존재할 수 있겠는가! 맹성을 촉구한다.
대한체육회나 국민생활체육협의회 같은 단체의 장은 체육계 전체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런 직책을 맡으려면, 국회의원 임기가 끝난 후이거나 적어도 대통령 선거 이후가 됨이 타당할 것이다. 현 시점에서 현역정치인의 생활체육협의회장 취임은 시기적으로 매우 부적절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부디 현명한 수습의 길을 가기 바랄 뿐이다.
위 글은 시민일보 6월 30일자 오피니언 5면에 게재됩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