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혜노믹스’의 골자는 현재 구도대로 가면 5% 성장할 텐데 잘못된 구조들을 뜯어 고쳐서 2%를 더하겠다는 즉 ‘5+2’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대로 가면 5%선이라는 데는 이론이 없다. 노무현 정부 4년간의 평균 성장률 4.5%가 최저선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관건은 ‘플러스 2%’가 가능하냐는 것이다. 현재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잘못된 구조를 고치는 일, 즉 불법 폭력시위를 근절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풀고 외교안보 역량을 강화하면 플러스 4.5%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히 실현할 수 있는 중간선인 ‘플러스 2%’를 약속하겠다는 것이 ‘근혜노믹스’의 답변이다.
공장입지 규제와 불합리한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면 성장률을 추가로 2.7%까지 견인할 수 있다는 정부 연구기관의 발표 역시 이미 검증되었기 때문에 박 전 대표가 제시하는 ‘플러스 2%’는 실현 가능성은 물론 확고한 실천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플러스 2%’는 신이 내려와도 불가능한 헛공약이라는 패배주의자의 논거를 요약하면 7% 성장은 노무현 대통령이 실패했기 때문에 불가능하고, 집회와 시위를 막아 성장률을 올리겠다는 것은 노동 3권마저 빼앗아 유신시대로 돌아가자는 주장이기 때문에 안 된다는 것이다. 첫째, 노대통령이 실패했기 때문에 앞으로 누구도 못한다는 논리는 이대로 속수무책으로 세계최빈국으로 전락해가자는 극단적 패배주의와 등치이기 때문에 반론의 필요성조차 느끼지 않는다.
둘째, 유신시대로의 회귀라는 논리는 자신의 억지 주장을 포장하기 위해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악의적 조작에 불과하다. 엄연한 법치 국가에서는 공권력을 동원해서라도 막아야할 불법 폭력시위를 근절해서 연간 12조원이 넘는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없애겠다는 얘기를 정당한 합법 시위를 봉쇄하고 노동 3권을 탄압하겠다는 얘기로 둔갑시키는 구태야 말로 비겁한 정치공세에 불과하다.
평균 5%도 성장 못하는 동안 중국, 인도 등 경쟁국들은 연간 10%의 경제성장을 구가하며 우리를 휙휙 앞지르고 있는 긴박한 상황이다. 시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원칙이 확고한 경제지도자만 잘 만나면 충분히 달성하고도 남는 ‘플러스 2%’에 작은 힘이지만 보태는 것이 국민의 대표가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가 아닐까?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