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길에 헬멧도 안쓰고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뺑소니차에 치인 것이다. 뺑소니차는 바퀴에 걸린 그 아이를 떼어내려고 수차례 전, 후진을 반복했고 아이는 비명 한번 질러보지 못하고 숨을 거두었다.
7월 말 기준으로 인천보호관찰소가 지도하는 소년범은 1600여명 이중 교통사범이 250여명이고 절도사범 600여명 중 80% 정도가 오토바이 절도와 연관돼 있는 점을 볼때 오토바이로 인해 보호관찰을 받는 청소년이 전체 소년범의 절반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변에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가는 청소년들을 보면 눈살을 찌푸리거나 꼴불견이라는 생각이 앞서고 왜 아이들이 오토바이에 열광하고 왜 그런 위험한 질주를 계속하는지, 그들의 행동에 대해 깊이 관심을 갖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말로는 청소년 문제에 대해 기성세대의 책임, 주변환경 운운하지만, 그 대안을 마련하는 데는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아이들에게 오토바이를 왜 타느냐고 물으면 하나같이 재밌어서라고 대답한다.
입시위주 교육으로부터 소외되고 급속한 가족해체로 인해 사회로부터 소외된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만족을 추구하기 위해 나름대로 마련한 돌파구인 셈이다.
그러므로 현재와 같이 단순히 단속하고 처벌하는 것만으로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청소년 인권에 대한 의식을 함양함은 물론 이들에게 오토바이가 아닌 건전한 오락거리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기존의 유해한 환경들을 정화하는 작업들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입시위주 교육과 결손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출발점은 바로 청소년 특히, 비행청소년들에 대한 우리 모두의 관심일 것이다.
사고 이틀 전 면담을 마치고 “선생님 안녕히 계세요”라고 밝게 인사하며 돌아서던 그 아이의 뒷모습이 아직도 가슴에 저려온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