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흔히 피지와 땀 분비가 왕성한 여름철이 여드름의 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겨울 또한 안전지대는 아니다. 겨울철에 여드름이 악화되는 이유는 신진대사가 저하되고 추위와 건조함으로 인해 각질의 탈락이 더뎌지기 때문인데, 각질이 쌓이면서 모공을 막게 되면 노폐물의 원활한 배출이 어려워져 여드름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겨울철 여드름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가 너무 건조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히터 바람이 직접 피부에 닿을 경우 피부 표면의 수분이 증발돼 피부가 건조해질 뿐만 아니라 열감까지 더해지기에 여드름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난방기를 사용할 경우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여 실내의 습도가 적정 기준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겨울이 되면 공기 중의 수분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게 된다. 수분 크림을 사용해 피부 표면을 촉촉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인체 내부에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과한 클렌징은 금물이다. 겨울철에 여드름이 발생하면 세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탓이라고 판단하여 피부에 자극을 줄 정도로 강하게 세안하거나 각질제거를 과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피부를 더욱 건조하고 예민해지게 만들 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렌징은 최대한 자극 없이 순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세안 후에는 보습제를 발라 피부의 수분 증발을 막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경기도 광주 피부과 사상참경희한의원 김국경 원장은 “여드름은 생활 속에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라며, “세안을 자주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것, 손으로 자극을 주지 말 것, 스트레스를 받지 말고 항상 편안한 마음가짐을 할 것,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것 등을 당부했다.
이어 “치료를 실시할 경우 약물치료를 통해 내부 장기의 근본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한의원에서는 청열해독을 기본원칙으로 하여 내장에 쌓인 열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도와 피를 맑게 해 여드름의 근본적 원인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환자의 개인적인 체질차이에 따라 적절한 약재를 배합해 피부의 노폐물 및 염증제거, 몸의 불균형을 바로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