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민일보=김다인 기자]두드러기는 5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흔한 피부질환이지만, 그렇다고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질병은 아니다. 일상생활 중에 두드러기를 유발시키는 요소가 매우 많아, 그 원인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드러기 예방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외부의 독소와 유해물질로부터 몸이 스스로 방어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면역력 강화에 힘써야 한다. 면역력 증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숙면이 중요하다.
또한 면역력 높이는 음식을 꾸준히 챙겨 먹는 것도 필수다. 면역력에 좋은 음식으로 여러 가지가 거론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대표적 음식은 홍삼이다. 홍삼은 식약처에서 인정한 면역력 개선 식품으로, 그 효능은 다수의 논문과 임상시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일본 가네코 심장병원의 가네코 박사팀은 임상시험을 통해 홍삼이 천연의 면역력 영양제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병원에 근무하는 건강한 직원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두 달간 홍삼을 복용케 하고 다른 한 그룹에는 가짜 약을 먹였다. 그 결과, 가짜 약 복용 그룹의 독감 발병률은 무려 73.3%에 달했다. 반면, 홍삼 복용 그룹의 독감 발병률은 28.6%에 불과했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생명과학연구소 강상무 교수팀의 경우엔 실험용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만 감염 12일 전부터 홍삼을 먹인 뒤,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모든 그룹의 쥐들에게 감염시켰다. 그 결과, 홍삼을 먹지 않은 쥐의 생존율은 20%에 그친 반면, 홍삼을 먹은 쥐의 생존율은 무려 8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면역력 향상에 좋은 음식인 홍삼은 홍삼액, 홍삼정, 홍삼 절편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홍삼은 제조 방식에 따라 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어, 제대로 된 효과를 보려면 제조 방식을 잘 살펴봐야 한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홍삼을 물에 달여 내는 ‘물 추출 방식’인 경우가 많다. 이런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홍삼 엑기스의 경우, 홍삼 전체 성분 중 물에 녹아 나오는 47.8%의 수용성 성분만 섭취할 수 있다. 물에 녹지 않는 52.2%의 불용성 영양분은 홍삼박(홍삼찌꺼기) 속에 남겨진 채 버려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 사이에선 홍삼을 제품에 통째로 갈아 넣은 ‘분말액 방식’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러한 방식은 홍삼의 수용성, 불용성 영양분을 모두 추출할 수 있어 홍삼의 사포닌, 비사포닌 성분을 모두 뽑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 같은 제조 방식은 참다한 홍삼을 비롯한 몇몇 소수업체가 사용하고 있다.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김재춘 교수는 한 방송에서 “대다수의 홍삼업체가 물에 달여 내는 방식으로 홍삼 성분을 추출하는데, 이럴 경우 물에 녹는 수용성 성분만 섭취하게 돼 반쪽짜리 홍삼을 먹는 셈”이라며 “홍삼을 통째로 잘게 갈아 먹어야 버려지는 성분 없이 95% 이상의 홍삼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드러기는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지만, 치료를 위해선 '면역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평소 두드러기 예방을 위해선 면역력에 좋은 음식인 홍삼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