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사증후군이 생기면 고혈당,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 성인병으로 불리는 여러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대사증후군 증상은 계속 방치할 경우 당뇨병,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은 물론, 혈액순환에 좋은 음식, 심장에 좋은 음식, 콜레스테롤 낮추는 음식 등을 꾸준히 섭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건강식품으로는 ‘홍삼’이 있다.
실제로 한국인삼공사 곽이성 박사는 실험용 쥐를 이용해 홍삼이 체지방 감소를 도와주는 ‘천연의 다이어트 약’임을 증명했다. 곽 박사는 고지혈증과 비만을 유발시킨 실험용 쥐에 홍삼추출물을 투여한 후, 중성지방 수치의 감소 여부에 대해 측정했다. 그 결과, 쥐들의 중성지방이 홍삼추출물 복용 전과 비교해 무려 17.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과학대학교 정동혁 교수는 임상시험을 통해 홍삼 섭취가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임을 증명했다. 정 교수는 고지혈증 환자 10명에게 2주간 매일 홍삼을 복용시키며 콜레스테롤 변화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홍삼 복용 전보다 적게는 10mg/dl에서 많게는 무려 80mg/dl이나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대사증후군에 좋은 음식인 홍삼은 홍삼액, 홍삼정, 홍삼 엑기스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홍삼은 제조 방식에 따라 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어, 제대로 된 효과를 보려면 제조 방식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홍삼을 물에 달여 내는 ‘물 추출 방식’인 경우가 많다. 이런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홍삼 액기스의 경우, 홍삼 전체 성분 중 물에 녹아 나오는 47.8%의 수용성 성분만 섭취할 수 있다. 물에 녹지 않는 52.2%의 불용성 영양분은 홍삼박(홍삼찌꺼기) 속에 남겨진 채 버려지는 것이다.
이런 물 추출 방식의 단점은 홍삼을 제품에 통째로 갈아 넣은 ‘분말액 방식’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분말액 방식은 홍삼을 미세분말화 한 뒤 제품에 넣는 제조법으로, 버려지는 홍삼 찌꺼기가 없는 것은 물론 홍삼의 수용성, 불용성 영양분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제조 방식은 참다한 홍삼을 비롯한 몇몇 소수업체가 사용하고 있다.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김재춘 교수는 한 방송에서 “대다수의 홍삼업체가 물에 달여 내는 방식으로 홍삼 성분을 추출하는데, 이럴 경우 물에 녹는 수용성 성분만 섭취하게 돼 반쪽짜리 홍삼을 먹는 셈”이라며 “홍삼을 통째로 잘게 갈아 먹어야 버려지는 성분 없이 95% 이상의 홍삼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산소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이 중요하다. 또한 비만과 콜레스테롤에 좋은 음식인 홍삼을 섭취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