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제공= 에이스재활의학과의원) |
척추관협착증은 말 그대로 척추관이 협착, 즉 좁아지는 증상이다. 척추관은 척추신경다발이 통과하는 관을 말하는데 노화로 인해 폭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눌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한다.
척추관협착증과 허리디스크는 증상을 조금만 자세히 살펴보면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 환자의 경우 허리와 다리의 통증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허리보다 양쪽 다리의 통증이 심하며 중증일 경우 10분도 제대로 걷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공통 증상인 요통에서도 차이점이 있는데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펴면 통증이 줄어드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굽히면 오히려 통증이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운동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한 이후에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으로 약물치료를 실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물리치료법을 통해 치료하기도 한다. 하지만 통증이 더 심해지면 수술을 택하는 경우도 많은데, 최근에는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간단한 시술로 통증 완화와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비수술적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 시행되고 있다.
에이스재활의학과 전승한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되는 증상이 발생할 경우, “되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방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 습관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오랜 시간 앉아있을 때는 주기적으로 자리에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보통 1시간 간격으로 10분 정도는 스트레칭에 투자하는 것이 좋고, 더불어 규칙적인 식습관과 함께 걷기, 등산 등의 운동 등을 병행할 것이 좋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