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풍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요산 결정체가 전신으로 퍼지면서 만성통증이나 관절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재발 위험도 있어 꾸준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에 최근 통풍 치료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통풍은 요산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몸 속 요산 수치를 높일 수 있는 붉은색 육류, 어패류, 맥주,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통풍의 주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음식인 홍삼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홍삼이 통풍에 좋은 음식이라는 근거는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종호 교수팀의 임상시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교수팀은 음주 및 흡연을 하는 20~65세의 건강한 성인 69명을 대상으로 홍삼분말을 1일 6g씩 총 8주간 섭취하도록 했다. 그 결과, 임파구의 DNA손상이 17%나 줄어들었고, 활성산소로 인한 체내 손상을 감소시켜주는 활성화 효소의 활동이 56%나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이는 홍삼의 꾸준한 섭취가 활성산소를 억제해 궁극적으로 통풍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활성산소를 제거해 통풍 치료법으로 좋은 음식인 홍삼은 홍삼엑기스, 홍삼 농축액 등 다양한 유형으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홍삼 제품은 제조 방식에 따라 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품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홍삼 제품은 홍삼을 물에 달이는 물 추출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홍삼 성분 중 물에 녹는 47.8%의 수용성 성분만 추출되고, 물에 녹지 않는 나머지 52.2%의 불용성 성분은 홍삼 찌꺼기(홍삼박)와 함께 버려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조 방식이 홍삼을 통째로 갈아 넣는 방식으로, 이 방식은 홍삼의 물에 녹지 않는 성분까지 모두 담아내 사포닌, 비사포닌, 항산화 성분을 비롯한 각종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제조 방식은 소수 업체만이 사용하고 있다.
통풍은 꾸준한 관리를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통풍을 유발시키는 요인인 흡연, 음주 등을 삼가고, 퓨린이 거의 없는 쌀, 보리 등의 소맥류와 김,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통풍에 좋은 음식인 홍삼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도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