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기중 의원 |
안심콜 출입관리시스템은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출입자 전화번호와 방문일시 등에 대한 기록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시스템이다. 등록된 기록은 4주 후 자동 삭제된다.
이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의회에서 코로나백신예방접종센터를 다녀왔는데 출입기록을 수기 또는 큐알(QR)코드로 하도록 돼 있다. 어르신들이 큐알코드로 하긴 어려울 거고, 수기 명부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입장부터 길게 줄서야 되는 문제가 예상된다"며 "안심콜 출입관리시스템을 도입하면 전화번호 안내해서 바로 전화하라고 하면 되니까 훨씬 시간이 단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경기 고양시를 시작으로 전국의 많은 지자체에서 안심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 관악구도 몇몇 공공기관에서 하고는 있지만 민간업체에까지 지원은 아직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고, 서울시에서도 올해 초 안심콜 도입에 대한 기사가 나왔지만 아직 확대는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원주를 방문했을 때 가게마다 안심콜 출입관리 시스템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전화만 걸면 바로 출입등록이 되는 시스템이라 수기 명부나 큐알코드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간편하다. 전화번호 노출 걱정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최초로 도입한 고양시의 경우 관내 음식점, 제과점, 이미용업소등 1만8000여곳이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고, 올해 예산은 재난관리기금에서 3억3600만원을 편성했다"며 "100만 인구의 고양시에서 이 사업의 1년 예산이 3억여원이니 인구가 절반인 우리구에서 5월이나 6월부터 시작한다면 넉넉 잡아도 올해 2억원 정도의 예산이면 관내 다중 이용 업소에 이 시스템을 도입할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예산의 경우, 고양시처럼 재난지원기금을 활용한다면 문제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우리구 재난관리기금이 39억이고, 이 중에 실제 지출하는 예산이 11억이다. 28억이 남아있기 때문에 충분히 여유가 있다"며 "지방기금법상 재난관리기금은 지출계획 변경시 의회의 의결을 미리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집행부에서 바로 계획을 세워서 집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아직 서울에서는 전면 도입이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관악구가 선제적으로 이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다른 구보다 앞서나가는 행정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주민 편의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구청장 이하 집행부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해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