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경기 광주 나눔의집 후원금 88억원 중 2억원만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됐다는 경기도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지난 11일 발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민관합동조사단 단장을 맡은 송기춘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12일 “이 돈은 국민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아 할머니들의 증언활동을 지원하고, 할머니들의 생활과 복지를 위해 쓰겠다고 해서 냈는데 안내된 계좌는 다 법인계좌였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한 송 교수는 "이사회는 100억 정도 모이면 호텔식 요양원을 지어 경쟁력있게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었다"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어 "원래의 후원 목적과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다”면서 “법인으로 들어오면 할머니들한테 가도록 해야 하는데 이게 안 쓰이고 절약해서 쓰고 할머니들이 아프거나 하면 할머니 돈으로 하고, 이 돈을 안 쓸 수 있는대로 안 쓰고 모아두고 있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송 교수는 할머니들의 재산 관리를 위해 법인직원들이 인수증에 사인을 받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이었다”며 “할머니들도 뭔지 모르고 그냥 해달라고 해서 해줬다고 한다”고 밝혔다.
그는 “참 안타까운 건 할머니들이 평안하게 지내시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바라지 않는데 이분들이 시설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건지 가족들까지 찾아가서 할머니들이 여기 장기 입소를 하겠다는 의뢰서를 쓰도록 하는 시도도 하고 있다”며 “이건 기본적으로 시설이 존폐 위기에 있으니까 이것을 막기 위해 그런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향후 조치에 대해서는 “일단 법인이 후원금을 모집한 부분에서 복지로 쓰지 않은 부분은 상습사기이고, 돈의 사용에 대해 업무상 횡령이나 배임의 혐의도 있다”며 “이 액수가 적지 않기 때문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에도 해당되는 것 아니냐고 판단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도에서 결정하겠지만 수사의뢰, 고발하고 법인의 운영을 정상화시키고 할머니들이 원하는 가장 살기 편한 방식으로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