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서·과정·주의의무 등 무시
"안전불감증 기반 무리한 철거" [광주=정찬남 기자]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광역시 철거건물 붕괴참사는 안전불감증과 부실 공사가 빚어낸 사회적 재난이었음이 드러났다.
광주경찰청은 28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 결과를 토대로 붕괴 원인을 규명한 수사 상황을 발표했다.
경찰에 따르면 국과수는 해체계획서를 무시하고 적절한 구조검토 없이 진행한 공사, 철거 과정에서 옆으로 작용한 무게 때문에 건물이 넘어지듯 무너졌다고 분석했다.
철거 공사는 시작부터 해체계획서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건물 사면을 기준으로 외벽 강도를 고려한 '좌→후→전→우'인 순서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상층부터 아래쪽으로 뜯어내는 철거 과정도 무시됐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건물을 상공에서 내려다봤을 때 'ㄷ'자 형태로 후면부에서 파고 들어가는 공사가 진행됐다.
작업을 맡은 중장비는 건물과 일정 거리를 두고 쌓은 흙더미(성토제) 위에 올리는 특수 장비 '롱 붐 암' 대신 임차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반 굴착기가 투입됐다.
핵심은 건물을 옆으로 밀어내는 무게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ㄷ'자 형태로 남은 건물이 버텨내던 임계점을 넘어섰다.
건물은 주저앉은 성토제가 힘을 작용한 도로 방향으로 쓰러졌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경찰 관계자는 "안전불감증에 기반한 무리한 철거 방법과 안전 관리자들의 주의의무 위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건물이 붕괴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