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행정안전부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발표한 '201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1월1일 기준 외국인 주민은 모두 221만6612명이다.
외국인 주민은 우리나라에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한국 국적 취득자(귀화자) ▲외국인 주민 자녀 등을 뜻한다.
이는 2018년 11월1일의 205만4621명에서 16만1991명(7.9%)이 증가한 것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수는 꾸준히 증가해 2009년 110만6884명으로 처음 100만명을 넘었고 2018년에는 200만명을 돌파했다.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총인구(국내에 상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 5177만9203명 중 외국인주민 비율은 4.3%였다.
외국인 주민 비율은 2016년 3.4%, 2017년 3.6%, 2018년 4.0% 등으로 꾸준히 오르고 있다.
2019년 외국인 주민 수를 17개 시·도 인구와 비교하면 8번째에 해당한다. 대구(242만9940명)보다 적고 충남(218만8649명)보다 많다.
유형별로는 외국인 근로자·외국 국적 동포·결혼이민자·유학생 등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77만8918명으로 전체 외국인 주민의 80.3%를 차지했다.
이어 ▲외국인 주민 자녀 25만1966명(11.4%) ▲한국 국적 취득자 18만5728명(8.4%)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주민 수가 많은 시·도는 ▲경기도 72만90명(32.5%) ▲서울 46만5885명(21.0%) ▲경남 13만4675명(6.1%) ▲인천 13만292명(5.9%) ▲충남 12만7057명(5.7%) 등이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전체 외국인 주민의 59.4%가 살고 있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안산시(9만2787명) ▲수원시(6만7073명) ▲화성시(6만5040명) ▲시흥시(5만9634명) ▲서울 영등포구(5만5524명) 순이었다.
총인구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은 시·도의 경우 ▲충남 5.8% ▲경기 5.4% ▲제주 5.2% ▲서울 4.8% ▲충북 4.6% 순으로 높았다.
외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이거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시·군·구는 모두 95곳이다. 경기도 23곳, 서울 17곳, 경남 10곳, 경북 9곳, 충남 7곳 등이었다.
이번에 발표된 통계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