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전담병원서 '확진자 단기진료' 검토중"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10-14 15:17:3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부, '위드 코로나 핵심' 재택치료 확대방안 모색
1~2일 모니터링후 퇴소… 대상자 범위 확대 추진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가 '위드(with) 코로나'의 핵심 대책인 재택 치료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를 단기 진료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김지연 진료지원팀장은 14일 비대면 백브리핑에서 "기존 병원을 이용한 단기 치료에 관한 많은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다"며 "기존 감염병전담병원에서 단기 진료를 보고 퇴소하는 방안을 만들자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저희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택치료는 무증상·경증 코로나19 확진자가 집에 머물며 자가 치료를 하다가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방역 당국과 상담을 거쳐 의료기관 내 의사와 대면 진료를 하는 방식이다.

재택치료 중 증상이 악화한 확진자가 방문할 수 있는 단기 진료센터는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1곳씩 운영되고 있다.

단기 진료센터에 1박 2일 정도 머물며 엑스레이 등 모니터링을 받고 퇴소해 집으로 돌아가는 식으로 설계됐다.

인천시는 당일 치료를 받고 퇴원하는 방식의 단기 진료센터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김 팀장은 "입·퇴원 절차 없이 통원하는 대면 외래진료는 아직 논의가 필요한 상황으로, 점차 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14일 오전 0시 기준 전국 재택치료자는 3219명이며 이 가운데 3115명이 수도권(서울 1731명·경기 1207명·인천 177명)에 있다.

김 팀장은 "비수도권은 병상과 생활치료센터에 여유가 있어 확진자들이 재택치료보다는 입소를 선호하는 상황으로 보인다"며 "확진자 수가 늘면 비수도권 재택치료도 늘 것"이라고 말했다.

재택치료 도입 초기에 키트 지급 등이 지연됐다는 민원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는 "일부 현장에서 혼선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서 미리 지자체에 비축물량을 배포했기 때문에 해소됐을 것"이라며 "지속해서 보완점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