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31% 멈춰 대체 인력 투입
![]() |
▲ 철도노조가 총파업을 선언한 20일 오전 광주 송정역 현장 매표소가 한산하다. (사진제공=연합뉴스) |
[시민일보 = 황혜빈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이하 철도노조)이 20일 오전 9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이날 KTX와 광역전철, 새마을호·무궁화호 등 여객열차와 화물열차가 30~70%가량 감축 운행돼 시민들이 출근길에 불편을 겪었다.
철도노조와 함께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등 한국철도(코레일) 자회사 노조도 함께 파업에 들어가 열차내 안내, 주요 역 발권 업무 등에 차질을 빚었다.
파업이 지속되면 대입 수시 논술과 면접고사 등을 앞둔 수험생, 특히 철도를 이용해 상경하려는 지방 수험생들의 불편도 클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는 철도공사 직원과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 인력을 출퇴근 광역전철과 KTX에 집중적으로 투입해 열차 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토부의 계획을 살펴보면, 광역전철 운행률은 평시 대비 82.0%로 맞추되 출근 시간은 92.5%, 퇴근 시간은 84.2%로 운행한다.
KTX는 평시의 68.9% 수준으로 운행하고, 파업하지 않는 SRT를 포함해 고속열차 전체 운행률은 평시 대비 78.5%를 유지한다.
일반 열차는 필수유지 운행률인 평시 대비 60% 수준, 화물열차는 31.0%로 운행한다.
기존에 입석을 판매하지 않았던 SR은 20일부터 열차 좌석을 구매하지 못한 철도 이용자를 위해 입석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국토부는 버스 업계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 협조를 얻어 대체 교통수단도 최대한 활용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앞서 철도노조는 한국철도(코레일)측과 막판까지 비공식 교섭을 계속했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철도노조는 ▲4조 2교대 내년 시행을 위한 인력 4000명 충원 ▲총인건비 정상화(임금 4% 인상) ▲생명안전업무 정규직화와 자회사 처우 개선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철도통합, 특히 SRT 운영사인 SR과의 연내 통합 등 4가지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코레일은 4조 2교대 시행을 위해 1800여명 수준의 인력 충원을 검토하겠다는 입장 외에 나머지 요구 조건은 재량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라며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올해 임금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조합원 투표로 파업 등 쟁의행위를 결정한 데 이어 지난 11~13일 특별 단체교섭 결렬 관련 조합원 찬반투표로 재차 파업 돌입을 결의했다.
철도노조의 무기한 총파업은 2016년 9~12월 74일간의 장기 파업 이후 3년 만이다.
지난 10월11~14일에는 경고성 한시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