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보현 연수구의원 (사진=연수구의원) |
정 의원은 이를 ‘전시성 행정의 대표 사례’라며 사업이 구정 홍보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번 발언은 2024년 11월 29일 열린 연수구청 안전관리과 대상 제4회 추경 심의에서 제기된 우려가 현실화된 것에 대한 반응이다.
정 의원은 해당 사업이 재난 문자 전광판 설치라는 명목으로 추진됐으나 실제로는 구정 홍보에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재난 상황은 자주 발생하지 않아 전광판 활용도가 낮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며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시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않거나 방치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사업 운영 주체가 안전관리과가 아닌 홍보소통실로 사실상 이관되는 구조라고 언급하며 18억의 인천시 특별교부금과 2천만 원의 연수구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이지만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2025년도 제1회 추경 심의에서는 실제 전광판이 구정 홍보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운영비용을 지적했다. 전광판의 월 전기요금이 463만 원, 연간 5,550만 원에 달하며 10년간 약 5억 5천만 원의 예산이 소요된다는 점도 꼬집었다.
정 의원은 대다수 국민이 휴대폰으로 재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고정형 전광판을 설치할 필요성에 대해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예산 편성과 행정 집행 전반에 있어 책임성과 실효성을 바탕으로 한 원칙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