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2월 부산·경남지역 수출입 현황
[당 월] 전년 동월 대비 부산·경남지역 수출은 23.7% 증가한 44억 달러, 수입은 24.8% 증가한 33억 달러를 기록하여 무역수지는 11억 달러 흑자
[누 계] 2월말 기준 전년 누계 대비 부산·경남지역 수출은 6.8% 감소한 85억 달러, 수입은 29.4% 증가한 7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15억 달러 흑자
(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 2021년 | 2022년 | 증감률 | |||
2월 | 1월 | 2월 | 전월대비 | 전년동월대비 | ||
수 출 | 부 산 | 992 | 1,297 | 1,315 | 1.4 | 32.6 |
경 남 | 2,543 | 2,793 | 3,058 | 9.5 | 20.2 | |
수 입 | 부 산 | 945 | 1,218 | 1,263 | 3.7 | 33.6 |
경 남 | 1,713 | 2,440 | 2,054 | △15.8 | 19.9 | |
합 계 | 수 출 | 3,535 | 4,090 | 4,373 | 6.9 | 23.7 |
수 입 | 2,658 | 3,658 | 3,317 | △9.3 | 24.8 |
[누 계] 2월말 기준 전년 누계 대비 부산·경남지역 수출은 6.8% 감소한 85억 달러, 수입은 29.4% 증가한 7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15억 달러 흑자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 ’21년 1월~2월 | ’22년 1월~2월 | 증감률(전년누계대비) | |
수 출 | 부 산 | 1,945 | 2,612 | 34.2 |
경 남 | 7,134 | 5,852 | △18.0 | |
수 입 | 부 산 | 1,993 | 2,481 | 24.5 |
경 남 | 3,400 | 4,494 | 32.2 | |
합 계 | 수 출 | 9,079 | 8,464 | △6.8 |
수 입 | 5,393 | 6,975 | 29.4 |
’22년 2월 부산지역 수출입 현황
[총 괄] 2월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32.6% 증가한 13억1천5백만 달러, 수입은 33.6% 증가한 12억6천3백만 달러, 무역수지는 5천2백만 달러 흑자로 6개월 연속 흑자 기록
[수 출] EU로의 자동차(147.7%) 수출 호조 지속과 미국으로의 철강제품(50.4%) 수출 증가로 11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
* 수출액 증감률(%) : (‘21.10)49.6→(11월)39.6→(12월)24.2→(‘22.1)36.0→(2월)32.6
* 무역수지(백만달러) : (’21.9)28→(10월)44→(11월)45→(12월)19→(‘22.1)79→(2월)52
- (품목별 수출) 자동차, 화공품, 철강제품이 증가하였고, 자동차는 11개월 연속 세 자릿수 이상 증가하였으며 선박 수출은 감소
* 품목별 증감률(%) : 승용자동차(135.6), 화공품(28.1), 철강제품(22.4), 전기·전자제품(10.7), 기계류와 정밀기기(9.1), 자동차 부품(4.7) // 선박(△45.8)
* 자동차 증감률(%) : (’21.4)136.1→(5월)494.2→(6월)1,347.2→(7월)134.0→(8월)186.9→(9월)596.1→(10월)1,965.3→(11월)1,063.7→(12월)334.5→(‘22.1)216.0→(2월)135.6
- (지역별 수출) EU, 중남미, 미국으로의 수출이 각각 17개월, 14개월, 10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대부분 국가에 대한 수출 증가
* 지역별 증감률(%) : 중국(56.1), EU(47.3), 미국(30.3), 중남미(20.4), 동남아(9.3), 일본(0.6)
[수 입] 주요 수입국으로부터 수입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철강재 등 원자재(40.0%) 및 자본재(37.1%) 수입 증가세 지속
구 분 | 2021년 | 2022년 | 증감률 | ||||
2월 | 1월 | 2월 | 1-2월누계 | 전월 대비 | 전년동월 대비 | 전년동기 대비 | |
수 출 | 992 | 1,297 | 1,315 | 2,612 | 1.4 | 32.6 | 34.2 |
수 입 | 945 | 1,218 | 1,263 | 2,481 | 3.7 | 33.6 | 24.5 |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