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이 8월의 마지막 날인 지난 31일 자신의 페이스 북에서 “앞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어떠한 임명직 공직을 맡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의원은 "최근 당의 혼란상에 대해, 여당 중진 의원으로서, 인수위 시절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낸 사람으로서, 무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하며, "이제 지역구 의원으로서의 책무와 상임위 활동에만 전념하겠으며, 계파활동으로 비춰질 수 있는 모임이나 활동 또한 일절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이 갈등을 최소화하고 빨리 정상화됨으로써 윤석열 정부를 성공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경 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핵심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으로 불리던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의 '2선 후퇴' 선언과 관련해 생존본능에 따른 약삭빠른 선택"이라고 비판했다. 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장제원 의원의 ‘임명직 포기’는 떠밀려서 한 것이고, 누가 임명직을 주겠다는 무슨 하마평이 나오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 말하는 것은 어색하고 오만하다”고 비판했다.
‘생존본능에 따른 약삭빠른 선택’이라도 ‘떠밀려서 한 것’이고 ‘어색하고 오만한 것’이라도 좋다.
최근의 국민의힘 여당발 악재와 혼란상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누구하나 책임지지 않는다. 그동안의 과정은 차치하더라도 국민 다수의 뜻에 따라 정권교체를 이룬 여당으로서 최소한의 품격(品格)을 묻고 싶다. 여당에서 염치(廉恥)를 아는 정치인을 많이 볼 수 있기를 소망한다. 최소한 ‘임명직 포기 선언’이라도 추가로 나오기를 기대한다. 책임정치가 정치개혁의 시작이다.
국민의힘은 상식과 공정사회를 표방하며 탄생한 정권의 여당에 걸 맞는 새로운 질서를 장만하여 더 이상의 자중지란에서 벗어나길 기대한다. 그리하여 윤석열 정부를 성공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길 바란다. 보수정권이든 진보정권이든 정부의 실패는 대한민국의 불행이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 더 이상 조급함, 오만함, 무능함에 무책임성까지 보여서는 안 된다.
최근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능력 여론조사에서의 국정 지지율은 새로운 정부의 국정 운영 동력으로는 부족하다. 급락하는 낮은 국정 지지율의 가장 큰 이유가 인사문제이다. 지금부터 25년 전, 1997년 15대 대선 당시 김대중 후보에 대해 국민들로부터 ‘측근 정치’ 우려가 제기되자 “김대중 후보의 핵심이었던 권노갑 · 한화갑 · 김옥두 · 남궁진 · 윤철상 · 설훈 · 최재승 7명이 임명직에 나서지 않겠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김대중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지금도 윤 대통령의 인사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있다.
윤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 먼저 기득권 포기 결단으로 국민적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야 한다. 그들이 먼저 스스로 백의종군의 신호탄을 쏘아 올릴 때, 한 번 쓴 사람은 웬만해서는 내치지 않는다는 윤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넘는 능력위주 인적쇄신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 0.73% 표차의 쉽지 않은 대통령 선거였던 만큼 제대로 된 국정 운영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가까운 책임 있는 인사들부터 내려놓는다는 마음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책임지는 사람이 한 명 없는 이즈음에 장의원의 백의종군의 신호탄이 그나마 위안이 된다. 이번 신호탄이 인적 쇄신과 환골탈태로 이어져 정치개혁, 국정 운영 동력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성공하는 대통령은 가까운 사람과 지지자만이 아닌 국민과 역사와 대화를 해야 한다.
끝으로 “장만해 (장제원 의원 만큼이라도 해라)”라는 말을 덧붙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