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이준석-최강욱 징계 서두르라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6-01 11:21: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6.1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졌던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에 대한 당내 징계가 얼마나 신속하게 처리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준석 대표는 성 상납 의혹과 증거인멸 교사 의혹 등으로 당 중앙윤리위원회의 징계 절차가 개시된 상황이다. 다만 선거를 앞둔 상황이어서 징계 여부를 선거 이후로 미뤄두었을 뿐이다.


최강욱 의원도 성희롱 발언 의혹 등으로 인해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으로부터 ‘비상징계권’을 발동하겠다는 소리까지 들었으나 지방선거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선거 이후로 징계를 미뤄둔 상태다.


따라서 선거가 끝나면 두 정치인에 대한 징계는 불가피하고, 그런 의미에서 두 사람은 사실상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다만 언제 형을 집행하느냐 하는 문제만 남았을 뿐이다.


이미 이준석 대표는 만신창이가 됐다.


그가 다음 달 초 우크라이나를 방문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당 안팎에선 당 윤리위 징계 절차를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이 대표의 성 상납 의혹을 제기한 무소속 강용석 경기지사 후보는 서울중앙지검에 이 대표에 대한 출국금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강 후보는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출국금지 신청은 범죄 피의자가 해외 도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는 것"이라며 출국금지요청 사실을 밝혔다.


같은 날 강 후보는 기자회견을 통해 "한 열흘 전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이준석이 지방선거 끝나면 바로 해외로 도피하려고 한다'는 소문을 듣게 됐다"라며 "검찰이 출국금지를 하지 않아 해외 도피하게 되면 직무유기의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전날 TV조선은 대통령실 관계자를 인용해 이 대표가 지난 13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회동했을 당시 선거 전 우크라이나를 방문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윤 대통령이 이 대표의 친서 요청을 거절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물론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곤란해진 대통령실 측에서 적당히 얼버무리는 형태의 발언을 하기는 했으나 윤 대통령이 이 대표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그를 향한 야당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한준호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30일 오전 서면 브리핑을 내고 "(이 대표는) 자신에 대한 성 상납은 함구하고 있다"라며 "아무리 허무맹랑한 선동을 해도 이 대표 본인에게 제기된 성 상납 의혹을 물타기 할 수는 없다"라고 공격했다. 나아가 "집권 여당의 대표가 자신에게 제기된 성 상납 의혹에 대해 가타부타 해명 한마디 못 하는 것을 부끄러워하기 바란다"라며 "이 대표는 성 상납 의혹부터 해명하시기 바란다"라고 꼬집었다.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압승하면 당 윤리위가 정상을 참작해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를 중단하거나 주의나 경고 등 가벼운 징계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미 그럴 수 없는 지경에 다다른 것이다.


최강욱 의원 역시 마찬가지다.


윤호중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강욱 의원에 대한 비상징계안'에 대해 "성비위와 관련된 우리 당 구성원에 대해서는 비대위 출범 이후에 엄격하게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왔다"라며 강한 징계를 예고했다.


박지현 위원장이 최강욱 의원의 '성희롱 발언' 의혹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자 윤 위원장이 그에 화답한 것이다.


발단은 최 의원이 지난 2일 당내 온라인 회의에서 동료 의원에게 성희롱 발언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다. 최 의원은 성희롱성 발언이 아닌 아이들의 놀이를 뜻하는 은어인 '짤짤이'를 지칭한 것이라고 해명해 오히려 빈축을 샀다. 박 위원장은 최 의원의 발언 사실이 알려지자 당 윤리심판원에 징계 여부 검토를 요청했고, 최 의원에게는 공식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또 민주당보좌진협의회에는 최 의원이 여성 보좌진들의 외모를 평가하고 비하하는 발언을 여러 차례 했다는 제보가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박지현 위원장이 비상징계권을 발동해 즉각 징계하려고 했으나 지방선거에 미칠 파장을 우려해 선거 이후로 징계를 미루었을 뿐이다. 산소호흡기를 달고 연명하는 환자와도 같은 처지인 셈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다시는 이런 정치인들이 정치권에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당 윤리위는 무거운 징계를 내려야 할 것이다. 그들의 정치생명은 선거와 동시에 끝이 나야 한다. 선거 결과와 징계를 연결해서도 안 된다. 그게 공정이고 상식이다. 시민일보 창간 28주년 생일날 이런 글을 써야 하는 마음이 착잡하기 그지없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