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8·28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한 강병원 의원이 21일 이재명 후보를 제외한 당 대표 후보들에게 예비경선(컷오프) 전 `후보 단일화`를 공개 제안했다.
본선 진출자 3명을 뽑는 컷오프에서 이재명 후보의 통과가 사실상 확정적이라고 여겨지는 만큼, 본선에 오르는 나머지 두 후보 간 단일화를 미리 하자는 것이다.
반면 다른 당권 주자인 설훈 의원은 “이재명 의원을 견제하기 위해 '1대 1'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라며 본선에 진출한 '비명' 후보들의 단일화를 제안했다. 컷오프를 통과한 두 명의 후보가 막판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컷오프 전에 하느냐, 아니면 후에 하느냐는 시기상의 차이가 있을 뿐,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당권 주자들 역시 후보 단일화의 필요성에 대해선 이견이 없어 보인다.
실제로 이른바 97세대(90년대 학번, 70년대생) 후보인 박용진, 강훈식, 강병원, 박주민 의원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재선 의원 모임 주최 ‘재선 의원 당 대표 후보 토론회’에 참석해 대표 후보 단일화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다.
토론에서 단일화 사안을 먼저 꺼낸 건 박용진 의원이었다. 박 의원은 ”정치공학적 단일화에는 관심이 없지만, 이번 전당대회 특성은 쇄신과 변화의 핸들을 세울 수 있느냐다. 그 점에서 단일화가 주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재명 의원은 혁신의 주체 아니라 쇄신 대상이다. 그가 당 대표가 되는 것은 당으로서도 행복하지 못하고 이재명에게도 곤란한 상황이다. 치열한 상황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컷오프 전이든 이후든 그런 그림이 만들어져야 하고 혁신·쇄신 방향으로 스크럼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병원 의원도 “이 의원이 당 대표가 될 때 당은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고 책임지지 않는 정당으로 낙인찍혀서 (국민으로부터) 멀어질 것이고 ‘이재명 리스크’가 당 전체의 문제가 돼서 민생의 시간, 혁신의 시간을 허비할 수밖에 없다”라며 컷오프 전 단일화 추진 선언을 거듭 제안했다.
사실 이재명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사법리스크로 인해 당이 혼란에 빠질 것은 불 보듯 빤하다.
설훈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에 대해 들은 이야기가 있는데 공개적으로 하기는 그렇다"라며 전해 들은 사법리스크가 심상치 않다는 점을 시사했다.
국민 10명 중 6명 가량은 이 의원이 연루된 대장동·백현동 개발 의혹 등에 대해 사법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여론조사공정㈜이 데일리안의 의뢰로 지난 18~19일 이틀간 전국 남녀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가 있다’라고 답한 응답은 59.2%로 집계됐다.
반면 ‘리스크가 없다’라고 답한 비율은 32.4%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라고 답한 비율은 8.5%였다.
민주당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에서도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 유효 응답이 53.5%에 달했다.
(이 조사의 응답률은 5.4 %,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 %p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국민도 알고 호남 민심도 알고 있는 사법리스크로 인해 당이 몰락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후보 단일화 논의는 그만큼 절박하다.
그런데 박주민 의원이 문제다.
박주민 의원은 후보 단일화 문제만 나오면 “가능성이 열려 있다“”라면서도 말을 ‘빙빙’ 돌리며 사실상 훼방을 놓는 모습이다.
오죽하면 강병원 의원이 박주민 의원을 겨냥해 “박 의원의 생각은 다른 것 같다”라며 “언론에서 왜 박주민을 ‘이재명의 러닝메이트’라고 평가하는지 보게 되는 건가”라고 물었겠는가.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어떻게 러닝메이트가 되고 페이스메이커가 되는지 언론이 인터뷰할 때 맨날 (나에게만) 질문하더라. 저도 이기려고 나온 것이다. (왜) 러닝메이트라고 하는지 잘 모르겠다”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어대명’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는 상황에서 ‘이기려고 나왔다’라는 박주민 의원의 말에 동의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누가 봐도 박 의원은 후보 단일화를 훼방 놓기 위한 ‘이재명 도우미’로 비칠 뿐이다. 그래서 전대 이후 이재명으로부터 한 자리를 받겠다는 생각이라면 아서라. 추악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