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해남군의회, 4일(금) 오후 3시 주민소통실에서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 발표 / 해남군의회 제공 |
[해남=정찬남 기자]전남 해남군의회(의장 이성옥)는 4일(금) 오후 3시 주민소통실에서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민찬혁 농수산경제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쌀값은 17만 원 대까지 폭락하고, 해남군 벼 재배 면적의 약 25% 약5천ha가 벼 멸구 피해를 입은데다 지난 9월에 내린 집중 호우로 약1천ha의 벼가 도복 됐으며 수발아 현상마저 우려되는 심각한 상황이다.”며 “정부는 9월 24일 피해 벼 매입 계획만 발표했을 뿐, 실질적인 구제 대책과 농업재해 인정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 발표가 없어 농민들을 다시 한 번 절망에 빠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리고“벼 멸구 피해와 함께 수발아 현상이 우려됨에도 불구하고 수확을 서두를 수 없는 농민들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정부가 빠른 시일 내에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이성옥 해남군의장 등 참석의원들은“정부의 무책임한 쌀값 대책에 이어, 자연재해로 인한 벼멸구 피해마저 외면하는 정부의 태도를 해남 군민을 대신해 엄중히 규탄한다.”며“벼멸구 피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농업재해 인정 및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 할 것과 피해벼 수매 가격을 생산비 보장 수준으로 책정하라.”고 한목소리로 주장했다..
민찬혁 농수산경제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쌀값은 17만 원 대까지 폭락하고, 해남군 벼 재배 면적의 약 25% 약5천ha가 벼 멸구 피해를 입은데다 지난 9월에 내린 집중 호우로 약1천ha의 벼가 도복 됐으며 수발아 현상마저 우려되는 심각한 상황이다.”며 “정부는 9월 24일 피해 벼 매입 계획만 발표했을 뿐, 실질적인 구제 대책과 농업재해 인정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 발표가 없어 농민들을 다시 한 번 절망에 빠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리고“벼 멸구 피해와 함께 수발아 현상이 우려됨에도 불구하고 수확을 서두를 수 없는 농민들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정부가 빠른 시일 내에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이성옥 해남군의장 등 참석의원들은“정부의 무책임한 쌀값 대책에 이어, 자연재해로 인한 벼멸구 피해마저 외면하는 정부의 태도를 해남 군민을 대신해 엄중히 규탄한다.”며“벼멸구 피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농업재해 인정 및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 할 것과 피해벼 수매 가격을 생산비 보장 수준으로 책정하라.”고 한목소리로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