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 정치권에서 ‘갈치 정치’, ‘연탄가스 정치’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이른바 ‘내부총질’로 자신의 주가를 높이는 정치를 야당에선 ‘갈치 정치’로, 여당에선 ‘연탄가스 정치’로 부른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 5선 중진인 안민석 의원은 당내 일부에서 이재명 대표에 대한 비판을 가하자 이를 '갈치 정치'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안 의원이 지칭한 ‘갈치 정치’란 갈치처럼 자기 식구를 잡아먹는 정치를 뜻한다.
안 의원은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큰 갈치 배를 가르면 (작은) 갈치가 나온다. 갈치는 갈치를 먹고 큰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의원은 "(윤석열 정권의) 문재인 대통령을 향한 정치 보복, 이재명 대표를 향한 정치 탄압은 대선 때 예견됐는데 현실로 드러나고 있는 지금 여야가 대치 정국에 있다"라며 "이때 총구를 외부를 향해야지 혹시라도 총알 한두 개가 내부를 향하게 되면 굉장히 치명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시국에서 갈치 정치는 굉장히 심각한 해당 행위인데 가을이 되니까 갈치 정치가 스멀스멀 올라온다"라고 거듭 비판했다.
그렇게 스멀스멀 올라오는 정치인은 여당에도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그런 정치인을 ‘연탄가스 정치’로 규정하면서 "틈만 있으면 스멀스멀 비집고 올라와 당에 해악을 끼치는 이들"이라고 정의했다.
홍 시장이 ‘연탄가스 정치’로 규정한 정치인은 바로 내부총질로 당을 흔들어대는 유승민 전 의원이다,
홍 시장은 유승민을 겨냥해 "윤석열 정부를 앞장서서 도와줄 수 없다면 가만히 지켜보기나 하는 게 같은 당 사람의 도리가 아닌가, 또다시 흔들어 박근혜 2기 정권을 만들려고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유상범 의원도 유승민 비판에 가세했다.
그는 “지난 대선 경선에서 패배한 후 남은 대선 기간 내내 뒷짐만 지고 아무런 기여도 않다가, 정권이 교체된 다음 시작된 야당의 매서운 공격에는 조용히 잠수하고 있다가 당 대표 선거 즈음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라며 "그의 참모습은 자칭하듯 개혁보수인가, 아니면 혹자의 말처럼 연탄가스 정치인인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등 뒤에 꽂힌 칼은 눈앞에 있는 적의 공격보다 훨씬 더 아프고 내부를 분열시킨다"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소속 안민석 의원은 자기 식구를 잡아먹는 ‘갈치 정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특정인을 지명하지는 않았다. 야당에선 그런 정치를 하는 사람이 유별나게 눈에 띄는 것도 아니다.
반면 국민의힘 홍준표 시장과 유상범 의원은 당에 해악을 끼치는 ‘연탄가스 정치’를 하는 사람으로 유승민을 ‘콕’ 집었다. 그가 유별나게 내부총질을 해대고 있는 탓이다.
사실 여든 야든 내부 쓴소리는 필요하다.
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소속 정당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바탕에 깔려있어야 한다. 그게 아니라 상대 정당 지지자들의 마음을 얻어 당권을 차지하겠다는 탐욕에서 비롯된 쓴소리는 야당에서 말하는 ‘갈치 정치’이자, 여당에서 말하는 ‘연탄가스 정치’로 ‘배신자’일 뿐이다.
유승민의 내부총질이 바로 그런 것이다.
실제로 유승민의 그런 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최근 국민의힘 당 대표 적합도 조사에서 유승민은 국민의힘 지지층 중에서 그를 지지하는 사람은 10명 가운데 1명꼴도 안 되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10명 중 무려 6명이 그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을 때리고 여당을 흔들어댄 대가로 민주당 지지층의 압도적 지지를 받게 된 것이다.
여론조사를 30%나 반영하는 국민의힘의 잘못된 경선룰이 유승민의 ‘내부총질’을 부채질하는 셈이다. 그러면 그럴수록 국민의힘이 망가지기를 바라는 민주당 지지층이 그를 지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룰은 바로 잡아야 한다. 일각에서 당원 투표비율을 80%에서 90%로 높이자고 주장하는데 그게 아니라 당직자 선출은 100%로 당원투표로 선출하는 게 맞다.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면서 당직 선출권을 빼앗아 여론조사 업체에 넘기는 것은 멍청한 짓이다.
그런 멍청한 짓이 자기 식구를 잡아먹는 ‘갈치 정치’, 당에 해악을 끼치는 ‘연탄가스 정치’를 부추겨 유승민 같은 배신자가 탄생한 것 아니겠는가. 경선룰 비정상화의 정상화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