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경선룰, 9대1 논의? 당신들 바보냐?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12-06 13:27: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3월 초로 가닥이 잡히면서 전대 룰을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현행 국민의힘 당규(제43조)는 “선거인단(대의원·책임당원·일반당원)의 유효투표결과 70%, 여론조사결과 30%를 반영해 최다득표한 자를 당 대표로 결정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여론조사를 반영시킨 것은 다분히 포퓰리즘적인 성격이 짙다.


당 대표 선거를 하는데 왜 여론조사를 하는가.


물론 공직 후보를 선출할 때에는 여론조사를 일부 반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직자를 선출하는데 굳이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해야 할 이유는 없다.


당원이 원하지 않는 당 대표가 선출될 수도 있는 ‘경선 룰’이라면 그건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이를 바로 잡는 게 개혁이고 혁신이다.


당내에서 ‘당원투표’ 비중을 늘리자는 의견이 나오는 것은 이런 연유다.


실제로 오는 7일 출범하는 ‘국민공감’ 간사로 선정된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6일 “당원투표 (비중을) 늘린다는 의견들이 당내에 굉장히 많다”라며 경선룰 변경에 힘을 실었다.


김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당 대표는 우리 당원들이 뽑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민주당은 예전부터 9대 1로 했다”라며 “저희는 계속해서 국민 여론 반영률이 좀 높았는데 이걸 9대 1로 (상향해), 당원들이 당 대표를 뽑도록 해보자는 의견들도 당내 굉장히 많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여의도연구원을 통해 경선룰을 ‘9대 1’, ‘8대2’, ‘7대3’(현행) 중 무엇이 적절한지 책임당원 상대 여론조사를 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참으로 멍청한 방향이다. 왜 비율을 논의하는가.


당직자는 당의 주인인 당원들이 선출해야 한다는 원칙을 따라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99대 1도 안 된다.


비율을 논의한다는 것은 여론조사 필요성을 사실상 인정하는 것이어서 그걸 줄인다는 건 언어도단이다. 따라서 아예 필요성 자체를 인정해선 안 된다.


실제로 이런 논의가 나오자 대표적인 유승민계로 분류되는 하태경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오히려 7대 3이 아니라 거꾸로 7대 3, 민심을 7로 하고 당심을 줄여야 하는데 지금 거꾸로 가고 있다"라고 비판하지 않았는가.


비율을 조정하는 논의는 유승민계에게 그런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뿐이다.


당직자 선출권을 당원에게 돌려주기 위해 ‘100% 당원투표로 선출한다’라고 못을 박으면 되는 일이다.


그러면 굳이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느냐 마느냐를 두고 다툴 이유도 없다.


역선택 방지조항은 여론조사에서 지지 정당을 먼저 묻는 조항이다. 국민의힘 지지자나 무당층이 아닌 경우 조사를 중단시킨다. 지난 국민의힘 대선 경선 때는 역선택 방지조항이 논란 끝에 제외됐지만, 원래 대표·최고위원을 뽑는 경선룰에는 대체로 이 조항을 넣는 게 관례였다.


지난 2018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시절 당헌에 ‘당이 실시하는 각종 여론조사에 있어 여론조사 대상을 국민의힘 지지자와 지지정당이 없는 자로 제한할 수 있다’(99조)는 역선택 방지 근거 특례조항을 만들기도 했다.


그런데 설사 특례조항을 만든다고 해도 영악한 개딸들이 얼마든지 그걸 피해서 여당 전대에 관여할 수 있다.


민주당 개딸들이 국민의힘 대표 선정에 투표권을 가지는 룰이라면 이는 대단히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전대 경선룰을 9대1로 변경하자는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원칙대로 당직자 선출권을 당원에게 부여하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그게 정당 개혁의 올바른 방향이다.


당의 주인은 정진석 비대위원장이나 주호영 원내대표는 물론 국회의원들이 아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꼬박꼬박 당비를 내 당을 지켜온 당원들이 주인이다. 9대1 논의는 그런 당원들의 당연한 당직자 선출권을 박탈하거나 축소하는 행위로 용납해선 안 된다. 오직 100% 당원투표가 답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