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년부터 시내버스 무정차·난폭운전 발본색원

민장홍 기자 / mjh@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2-29 13:53:3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류소 30km/h 이하 운행제도 운영··· 적발땐 행정처분
운수종사자 안전운행 모바일웹 도입··· 위험 운전 관리도

[시민일보 = 민장홍 기자] 경기도가 시내버스 무정차 운행과 과속 등 난폭운전을 근절하기 위해 2025년 1월부터 ‘시내버스 정류소 30km/h 이하 운행제도’와 ‘시내버스 운수종사자 안전운행 모바일웹’ 도입을 추진한다.

도는 연간 약 1만건 이상 발생하고 있는 무정차 운행 근절을 위해 버스 정류소 통과시 30km/h 이하로 운행을 유도하되, 30km/h 초과 운행시 무정차 의심 통행으로 판단해 서비스 평가시 감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경기도 버스운송관리시스템(BMS)을 활용해 버스 정류소 구간의 통과시간을 기준으로 구간 속도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무정차 민원 발생 상위 100개 노선을 선정하고, 도-시ㆍ군 합동 점검반을 편성해 분기ㆍ반기별 암행 단속을 실시하고, 무정차 운행 적발시 무관용 원칙에 따라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한 과속, 급정거 등 난폭운전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 운전 행동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운수종사자 안전운행 모바일웹 시스템을 도입하고, 위험 운전자에 대해서는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는 위험 운전 행동 습관에 따른 등급을 분류한 후 등급이 높은 운전자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등급이 낮은 운전자에게는 안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향후 안전운전 집중관리를 통해 연비 절감 및 보험료 인하 등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도는 지난 10월 4대 핵심민원(무정차ㆍ불친절ㆍ난폭운전ㆍ배차계획미준수) 감축 대책을 수립한 이후 지침 개정을 위해 관계기관 협의를 추진했으며, 시내버스 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 26일 설명회를 개최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경기도 시내버스의 주요 민원인 무정차 운행과 난폭운전 행위에 대한 관리 감독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며 “경기도는 공공관리제 시행과 함께 더 안전하고 편리한 시내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