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른바 '이준석 리스크' 해소를 계기로 국민의힘에선 차기 당권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12일 현재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 나경원 전 의원 등 이미지 정치를 구사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쌓아온 인물들이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지난 8월 1일 의원총회가 끝나고 몇몇 비윤계 의원들이 모여 비대위원장 후보군을 추려보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거론된 인물은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그들이 아니라 바로 윤상현 의원이었다.
어, 윤상현?
사실 윤상현 의원은 대중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지닌 정치인은 아니다.
따라서 그의 이름이 나올 때 정치를 잘 모르는 일반 국민이 고개를 갸웃거리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각종 여론조사 업체가 실시하는 차기 국민의힘 당 대표 지지도 조사에서 그의 이름이 빠진 것은 이런 연유다.
그런데도 여당 비윤계 의원들이 기꺼이 그를 당 대표감으로 꼽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도 그가 균형감을 갖춘 정치인이기 때문일 것이다.
앞서 정진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전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욱일승천기가 다시 한반도에 걸리는 날이 올 수도 있다’라는 발언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조선은 왜 망했을까? 일본군의 침략으로 망한 걸까? 조선은 안에서 썩어 문드러졌고, 그래서 망했다. 일본은 조선왕조와 전쟁을 한 적이 없다”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그의 의도와는 다르게 야당에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이에 대해 윤상현 의원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일본이 조선왕조와 전쟁을 안 했다는 것이 아니라, 구한말 한일합방에 즈음해 전쟁이 아닌, 스스로 부패한 조선이 내부 모순을 이기지 못하고 힘 한번 못 써본 채 일본에 국권을 내주었다고 강조한 것이 정 위원장의 뜻임이 명백하다”라면서도 “다만 정치인은 자신의 말뜻을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여당 비대위원장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행여라도 일본에 면죄부를 주는듯한 뉘앙스로 국민에게 들려 혼란을 초래해선 안 된다. 정 위원장이 좀 더 신중하셨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유승민 전 의원은 “우리 당 비대위원장의 말이 맞나? 이재명의 덫에 놀아나는 천박한 발언”이라며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당장 이 망언에 대해 국민께 사과하고, 비대위원장직에서 사퇴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라고 공세를 퍼부었다.
그러자 윤상현 의원은 유승민 전 의원을 겨냥해 “그야말로 가관이다. “옳거니!” 하며 약점이라도 잡았나? 정진석 위원장 메시지의 진의를 모를 분이 아닐 텐데, 일부 문장 하나를 마치 급소라도 움켜쥔 것처럼 물고 늘어지고 사퇴까지 요구하다니. 누가 보면 야당 강경파 정치인인 줄 알겠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당원들이 유 전 의원의 그런 정치에 실망하여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에서 탈락시킨 것 아닌가? 유 전 의원에게 잘한다고 박수를 보내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안 보이시나? 정진석 위원장의 실수는 결코 유 전 의원의 기회가 아니다. 다시 한번 생각해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정 위원장의 잘못을 살짝 꼬집으면서도 유승민 전 의원처럼 그걸 기회로 정 위원장을 짓밟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띄우는 행위를 하지 않았고, 되레 그런 행위를 한 유 전 의원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그런 균형 감각이 비윤계 의원들로부터 호감을 사고 있는 것 같다.
문제는 '반윤'(反尹), 혹은 '비윤'(非尹), 그리고 '친윤'(親尹) 그룹에서 다양한 후보들이 당권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결국은 윤심(尹心)의 향방이 차기 당권을 결정지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비윤계 의원들의 지지만으로는 당권을 잡기 어렵다는 말이다.
하지만 윤상현 의원은 비윤계가 아니다. 오히려 각 언론에선 그를 윤심을 등에 업은 ‘신(新)핵관’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반윤'의 유승민, ‘비윤’의 안철수-나경원에 대해 일말의 불안감을 지닌 ‘친윤’의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서 윤상현 의원이 대안으로 거론되는 이유다.
지금까지 ‘어, 유상현?’ 하면서 고개를 갸웃거리던 사람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아, 윤상현!’하고 고개를 끄덕거리게 될지도 모른다.
다만 주변의 잇따른 출마 요청에도 그가 당 대표 경선에 뛰어들 생각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지금부터 그의 행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