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습투약·대량 밀수사범 등 양형기준 강화키로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정부가 18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마약 범죄와 관련해 단속과 처벌 강화, 재활제도 보강 등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강남 학원가 '마약 음료' 사건, 배우 유아인 마약 투약 사건 등을 계기로 마약의 일상 침투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이번 대책 논의는 정부가 마약 범죄를 뿌리뽑기 위해 관계부처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의지를 다잡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을 논의했다고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언론 브리핑에서 밝혔다.
먼저 법무부 등은 대검찰청에 마약·조직범죄부를 이른 시일에 설치해 검찰의 마약 수사 기능을 복원하겠다고 보고했다.
더 나아가 대검찰청·경찰청·관세청·교육부 등이 지난 10일 설치 계획을 발표한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는 범정부 수사역량을 결집한 마약범죄 수사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각 부처 인원을 모은 840명 규모 특별수사본부가 수사 착수 단계부터 공판절차까지 공동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신종 마약 탐색 과정에는 첨단 감정 장비를 도입해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며, 마약 범죄자 처벌을 강화하는 조치도 추진된다.
정부는 "상습 투약 및 대량 밀수 사범 처벌 강화를 위해 대법원 양형위원회에 마약 범죄 양형기준 강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치료·재활 제도 보강을 위해서는 현재 치료 보호기관으로 지정된 24개 병원의 사업 운영비와 치료비 지원 단가 인상이 추진된다.
아울러 국가 예산으로 운영되는 전국 중독 재활센터는 기존 2곳에서 3곳으로 확대하고 민간중독재활시설(DARC)에 대한 재정 지원도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밖에도 교정직 공무원 103명에게 중독심리사 자격을 취득하게 하고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 재활 강사 90명을 양성하는 등 마약류 중독 재활에 필요한 전문 인력도 올해 약 190명 양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윤 대통령은 "마약범죄는 반드시 처벌된다는 각오로 강력하게 수사·단속하고 마약류 중독자는 하루속히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치료·재활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고 방 실장은 전했다.
또 윤 대통령은 "정부는 마약과의 전쟁에서 반드시 승리할 수 있도록 범정부의 역량을 총결집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