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국면 때 국회의원 등 대상 공작 악용 우려도
[시민일보 = 문민호 기자] 딥페이크로 인한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지방의회 남성 의원들을 타겟으로한 딥페이크 피해가 퍼지자 경찰이 광역 수사에 들어가다.
경찰청은 이달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대구 등의 기초의원 소속 30명이 딥페이크 협박 메일을 받고 경찰에 신고해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등 각 지방청이 수사에 착수한 상태라고 1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피해자는 전부 20~40대의 남성 의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피해 의원들은 대부분 '자신의 얼굴이 합성된 나체의 남성과 여성이 누워있는 사진'과 돈을 요구하며 협박하는 내용이 담긴 메세지를 받았다.
발신자는 불법 합성물을 삭제해주는 대가로 5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요구하며 QR코드를 보내 접속을 유도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피해자들은 사회적 물의를 빚으면 잃을 게 많은 정치인"이라며 "음란물이 젊은 층에서 많이 소비되다 보니 젊은 의원을 타깃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점점 심각하게 악용될 소지가 높다"며 "딥페이크 범죄가 진화하고 있다. 이번 사건도 협박, 성 착취물 등 각종 수법이 혼합된 형태"라고 덧붙였다.
이상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초기에는 합성물이 어색한 부분도 보였지만, 이제는 진짜와 가짜가 잘 구별되지 않아 한번 퍼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딥페이크 처벌 강화, 워터마크 표시 의무화 등 대책과 별개로 합성물 유통 경로인 플랫폼들이 자발적 차단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기초의회 의원을 상대로 범행 수법을 테스트해본 뒤 향후 국회의원이나 고위공직자를 상대로 타깃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과 합성 기술을 정교화해 향후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서 '딥페이크 공작'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