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법리스크로 리더십이 크게 실추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친문(親文, 친 문재인)계와 DJ(김대중)계에 SOS를 보내는 모양새다.
실제로 이 대표는 정청래 최고위원의 강력한 반대에도 DJ계 박지원 전 국정원장의 복당을 받아들인 데 이어 새해 초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면담을 추진한다.
이 대표 측은 새해 인사 차원이라며 확대 해석을 꺼렸지만, 당 안팎에서는 이 대표에 대한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한 상황과 맞물려 당내 결속을 도모하기 위한 행보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 대표가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원장으로 친문(친문재인)계 정태호 의원을 내정한 것도 '친문' 끌어안기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 의원은 노무현 정부에 이어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도 몸담은 정책통으로, 친노·친문계 핵심 인사로 꼽힌다. 지난 대선 경선에서는 이낙연 전 대표 캠프에서 정책을 총괄했다.
정 의원이 비록 정책 전문가기는 하지만 초선인 데다가 친문계 대표 인사라는 점에서 의외의 인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통상 민주연구원장은 당 대표의 측근 인사가 맡아 왔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대표는 왜 이처럼 '친문-DJ'계에 SOS를 보내는 것일까?
친문과 DJ계를 중심으로 한 비이재명계 일각에서 '이재명 자진사퇴 및 비대위 구성' 주장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한마디로 “살려 달라”는 것이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지난 23일 강원도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혐의도 뚜렷하지 않은 이재명에게 언제 소환에 응할 것인지 물을 게 아니고, 중범죄 혐의가 명백한 (윤석열) 대통령 가족은 언제 소환할 거냐고 먼저 물어보시기 바란다"라며 사실상 검찰이 오는 28일로 통보한 소환일에는 출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당당하게 소환 조사에 임하고 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목소리만 있는 게 아니라 구체적인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현실화하면서 당내 비명계 의원들이 기존 '반성과 혁신 연속토론회'를 연초에 '2023 민주당의 길 연속토론회'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시즌2까지 마친 '반성과 혁신 연속토론회'를 '2023 민주당의 길 연속토론회'라는 이름으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현재 의원들 간 물밑 접촉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민주당의 길 연속토론회'에는 김종민, 이원욱, 조응천, 김영배 등 대표적인 비명계 의원들이 이름을 올린 상태다.
당내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길 연속토론회'가 이 대표를 견제하는 또 다른 구심점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당내 친(親)문재인계 싱크탱크인 '민주주의 4.0 연구원'도 지난달부터 활동을 재개했다. 현재 민주당은 심리적 분당(分黨) 상태까지 온 상황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대표가 사실상 친문계와 DJ계에 자신을 버리지 말고 살려달라며 긴급 구조요청을 한 셈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의 지적처럼 이미 썩어 흔들리는 치아는 뽑아야지, 옆의 다른 치아와 연결해 묶는다고 버텨지는 것이 아니다.
어쩌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로 인해 쪼개질지도 모른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19~20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민 56.3%가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있다"고 응답했다. "사법 리스크가 없다"는 응답은 37.3%에 그쳤으며 "잘 모르겠다"는 6.4%이었다.
이로 인한 민주당 분당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가능성이 있다"라는 응답이 45.2%로 "가능성이 없다"라는 응답인 43.0%보다 2.2%p 높았다.
(이 조사는 지난 19~20일 전국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방식의 ARS로 진행했으며, 전체 응답률은 2.6%다. 표본은 올해 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림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런 상황이라면 이재명 대표가 강제소환을 앞두고 '친문-DJ'계에 SOS를 보내지만, ‘백약이 무효’다. 한두 건도 아니고 무수히 많은 의혹 앞에서 사퇴 말고는 방법이 없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