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억 타 조직 자금 세탁도 [울산=최성일 기자] 고등학생까지 가담한 마약 유통 조직이 경찰에 적발됐다.
울산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2020년 6월부터 최근까지 해외에서 액상 대마, 합성 대마, 리서직산 디에틸아마이드(LSD) 등을 들여와 국내에 유통한 조직을 적발해 총책 20대 A씨 등 20명을 구속하고 상습 구매자 등 14명을 입건했다고 2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 조직은 베트남 등에서 주문한 화장품이나 컵라면 등에 마약을 끼워 넣어 국내로 밀수한 후 대마나 합성 대마를 뜻하는 은어를 사용해 트위터 등에서 구매자를 모집했다.
이 조직은 텔레그램 등을 통해 마약 판매 광고 채널 5개를 운영하면서 회원 3000여명을 모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거래가 성사되면 마약 운반책이 서울, 경상, 전라 등 전국에 있는 원룸이나 주택가 일대 전기함이나 에어컨 실외기 등에 마약을 숨겨두고, 회원인 구매자가 찾아가는 일명 '던지기' 방식으로 전달했다.
마약 운반책은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들이 많았으며, 고등학생도 1명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이들은 처음에는 광고 글을 보고 마약을 구매했다가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운반책으로 가담했는데, 월 최소 300만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이 조직은 다른 마약 판매조직 최소 5곳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판매대금 170억원 상당을 가상화폐로 바꿔주는 자금 세탁 역할을 했다.
이 조직은 자금 세탁을 통해 수수료 10%를 수익금으로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미국에서 유학하던 총책 A씨는 마약 판매와 자금 세탁을 통해 번 돈으로 서울 유명 카페거리에 있는 카페와 오피스텔 등을 구입하고 외제 스포츠카를 몰고 다니며 유흥비로 하루 2500만원 정도를 쓴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A씨 조직이 마약 판매로 14억원, 자금 세탁 수수료로 17억원 등 총 31억원을 챙긴 것으로 추정했다.
경찰은 텔레그램에서 마약 판매 정황을 포착해 수사를 시작했으며, 범죄수익금 31억원을 몰수 또는 추징 보전하고 현금과 귀금속 8600만원 상당을 압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마약 판매조직에 범죄집단조직죄를 적용하는 등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