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입국 후 PCR 검사·요양병원 면회 등 추가 완화 검토

홍덕표 / hongdp@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9-26 15:17:0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실내마스크 더 유지··· 7차유행 가늠 못해"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이 26일 다음 유행인 7차 유행과 관련해 "시기와 규모는 가늠할 수 없으나 유행이 없다는 보장이 없다며 이에 대비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좀 더 오래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정 단장은 이날 코로나19 특별대응단 브리핑에서 "7차 유행이 얼마나 빨리, 얼마나 세게 올 것인가를 결정짓는 데는 면역력이 중요하다"며 "국민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90% 이상이 항체를 갖고 있다고 나왔지만 항체를 보유한 것과 실제 면역능력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지난 7월1일 이후 4차 접종을 완료한 자는 300만여명이고, 7월1일 이후 여름 재유행(6차 유행)에서 확진된 사람은 검사자 620만여명이다.

이에 더해 미확진 감염자(숨은감염자)가 310만여명으로 대략 추정되며, 오는 10월11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 개량 백신을 맞을 사람들을 수백명으로 예상된다.

정 단장은 "이들 7월1일 이후 접종·확진된 1500만여명은 실질적 면역력이 4∼5개월 유지돼 올해 연말 내로는 감염되지 않을 것"이라며 "7차 유행을 선도하거나 7차 유행시 확진될 확률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5차 유행(오미크론 대유행) 당시 추정되는 숨은 감염자까지 포함해 2300만명이 코로나19를 앓고 면역을 갖고 있었지만 불과 3월 정점 4개월 후인 7월부터 6차 유행이 시작됐다"며 "전 인구의 절반 정도가 이미 앓아서 면역이 있는데도 6차 유행은 오고 만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정 단장은 BA.1.2 변이를 주 타깃으로 개발된 개량백신을 맞는다고 해서 현재 유행 변이인 BA.5를 완전히 막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정 단장은 "불과 몇달 전에 많은 사람들이 앓았다고 해서 그 다음 유행이 없다는 보장은 없다"며 "면역능력을 보유한 사람들이 많다는 점은 희망적이지만 7차 유행의 시기와 규모는 아무도 가늠할 수 없고, 7차 유행에 대해 철저히 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는 7차 유행 가능성에 대비해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 단장은 실내 마스크 의무에 대해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의 의견이 모이지 않은 만큼 개인 의견이라는 전제로 "7차 유행을 가늠은 못하지만 준비는 항상 좋은 것이고, 재난 대비는 언제나 다소 과잉되게 하는 것이 미비한 대응보다 훨씬 낫다"고 말했다.

이어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는 7차 유행이 크게든 가볍게 지나가고 어느 정도 안정이 되고 일시에 다 같이 벗는 것이 혼선이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단계적 해제가 아닌 '일시 해제' 의견을 냈다.

아울러 "영유아 언어발달 때문에 영유아부터 벗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언어발달은 중·고등학생에게도 중요하고 대학생 때까지도 계속된다"며 "아이들은 벗는데 어른들은 못 벗느냐는 등의 (혼선)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는 어느 시점을 잡아 일시에 해제하는 것이 훨씬 혼선이 줄어든다는 생각"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정 단장은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 요양병원 대면면회 재개 등 추가 방역 완화에 대해서는 "자문위가 요양병원 면회는 좀 더 개방해야 한다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입국 후 1일 내 검사 의무는 좀 더 안정이 되면 풀어도 되는 부분이라 조만간 결정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덕표 홍덕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