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14.7% 달해··· 7명 중 1명 꼴
[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으로 신규 확진자를 비롯해 재감염 추정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오미크론 하위 변위 중 BN.1 변이 검출률 역시 상승세를 띄고 있다.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일평균 5만8958명으로 전주보다 11.2% 증가했고, 감염재생산지수(Rt)의 경우 1.04로 8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했다.
해당 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일 경우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방대본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률이 증가한 상황이며, 학령기와 젊은 연령층,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증가폭이 특히 컸다"고 설명했다.
주간 일평균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444명이며, 사망자는 51명이다.
11월 마지막 주를 기준으로 재감염 추정 사례 비율을 살펴보면 전주(13.29%)보다 약간 늘어난 14.7%다.
이에 따라 신규 확진자 7명 중 1명은 2회 이상 감염자라고 볼 수 있다.
전체 누적 감염자 중 2회 이상 감염자는 3.1%다.
현재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오미크론 하위변위 중 BA.5와 그 세부계통(BF.7, BQ.1, BQ.1.1)의 검출률이 71.3% 수준으로 우세한 가운데 BN.1의 검출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BN.1는 오미크론 BA.2.75(켄타우로스 변이)의 세부계통으로 BA.2.75.5.1로 불렸다가 지난 9월에 BN.1로 재명명됐다.
지난 9월22일 국내에서 첫 검출된 데 이어 최근 4주간 검출률은 7.6%→7.7%→13.2%→17.4%를 기록하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방대본은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중간'으로 유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