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꼭 필요한 부분 '표적방역' 추진 데이터 통해 취약그룹 집중관리"

박준우 / pjw1268@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8-03 15:39:4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중증화·사망 방지 만전"

[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어선 상황 속에서 정부는 "국민들께 일상을 돌려 드리면서 확진자가 많이 나오는 곳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표적 방역'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에게는 2년 7개월 동안의 코로나19 경험과 많은 데이터가 있다"며 "어디에서 감염이 되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부터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자격으로 중대본 회의에 참석한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환자와 암의 유전자를 분석해서 딱 필요한 약을 쓰는 '표적 항암치료'처럼 방역도 일괄적으로 규제하는 방역을 피해 꼭 필요한 부분에 표적화하겠다는 말"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 단장은 "그동안 정부가 해온 위험군 관리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최근 50대와 18세 이상 기저질환자를 4차접종 대상에 포함한 것은 표적방역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전국의 기저질환자를 데이터화한 뒤 일일이 안내하는 표적화 방역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데이터를 통해 필요한 곳에 타깃 방역을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매주 코로나19 위험도 분석을 통해 나오는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 발생과 변동 양상 등에 대한 심층적인 자료들이 표적방역에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이런 자료 분석으로 표적방역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중증화 사망률 발생 방지를 위해 어느 그룹이 위험하고 어떤 식으로 변동이 나타나는지 분석해 거기에 방역대응을 집중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고위험시설로 알려져있는 요양병원·시설의 표적방역에 대해서는 현재 환기설비 실태 조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어 용역을 통해 분석한 뒤 시설 환경·상태 등의 보완 방안을 찾아 적용할 방침이다.

이 1총괄조정관은 "코로나 발생 초기에는 바이러스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감염 차단을 위한 시간, 모임, 영업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했다"고 말하면서 "(이런 자원들을 활용해)국민들께서 일상생활을 계속하실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이날 중대본 회의를 통해 논의된 군 시설과 대입 감염 확산 방지 방안 등과 관련해 이 1총괄조정관은 "최근 군 시설 내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대학 입시도 곧 다가온다"며 각 부처와 지자체에 감염 확산 방지에 힘 써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코로나19 보유 병상은 현재 6210개로 확진자 15만명 발생에 대응 가능한 수준이다. 하지만 정부는 30만명 발생에도 충분히 대응 가능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병상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코로나19 진단검사와 진료,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진료기관은 지난 2일 기준 314곳을 확보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준우 박준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