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포지엄은 완도만의 차별화된 해양치유 모델 개발에 대해 논의해 해양치유산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자 마련됐다.
심포지엄에는 신우철 완도군수와 안도걸 국회의원, 김양훈 완도군의회 의장, 해양수산부 및 전남도 관계자, 이채빈 완도해양치유관리공단 이사장, 해양치유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완도해양치유센터 홍보 영상 시청을 시작으로 센터 개관 1주년 기념식, 기념사, 해외 연사 초청 강연과 토크 콘서트가 진행됐다.
강연에 나선 프라샨 티바리 교수(인도 아유르베다 의사협회장)는 인도의 아유르베다식 치유 방법을 설명하고, 완도 해양치유와 접목할 수 있는 치유 프로그램과 해양자원 등에 대해 제안했다.
‘아유르베다’란 고대 인도 힌두교의 대체 의학 체계로 오늘날에도 인도, 네팔과 스리랑카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요법이며, 요가, 명상, 테라피, 웰니스ㆍ문화 활동 등 치유객의 원기 회복과 노화 방지, 디톡스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토크 콘서트에서는 신우철 군수와 김충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성시윤 휴앤치유연구소장이 참여해 완도만의 해양치유 모델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김충곤 박사는 독일 해양치유 시설과 호텔, 리조트 등 숙박업을 연계한 성공 사례, 프랑스의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효과성 검증에 따른 높은 만족도 등 완도군에 접목 가능한 해외 사례에 대해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