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인공지능 기술로 도심침수 사전차단

정찬남 기자 / jcrs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1-12 15:54:3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379억 들여 스마트 하수도 체계 구축

극락천ㆍ서방천 수계 중심 침수대응 능력 개선 추진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는 갑자기 쏟아 붓는 폭우에 대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하수도를 관리하는 스마트 도심침수 대응 체계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오는 2월 초 착수한다.

지난 2021년 7월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환경부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사업에 최종 선정된 후 환경부와 수차례 협의과정을 거쳐 사업내용, 과업범위 등을 신속하게 확정하고, 행정절차 이행 등 사전 준비를 마무리했다.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 사업은 국비 265억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379억원을 투입해 백운광장, 서서고, 신안교 주변 등 극락천과 서방천 수계를 중심으로 도시침수 대응 능력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하수관로 설계기준을 상회하는 강우로 인해 도시 침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침수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스마트 기술을 연계해 근본적으로 도시의 침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역점을 두고 있다.

하수관로 수위측정과 하수량 모니터링 등 하수관로 내부의 실시간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기상청의 실시간 강우량과 예상 강우량을 활용해 지역별 강우양상 분석하는 등 기후변화와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침수에 대한 스마트 관리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강우시 하수의 수리학적 특성 및 강우 데이터를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 등 미래형 스마트 기술로 실시간 분석하고 예측해 빗물펌프장, 하수저류시설 등 침수대응 시설물 운영에 접목한다.

이를 통해 침수발생 위험지역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