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방류 대응 행정력 집중 투입
측정ㆍ정보 공개··· 위판장ㆍ양식장 등 안전성 조사
[홍성=최진우 기자] 충남도가 바닷물과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감시 체계를 대폭 강화하고,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 투입한다.
김태흠 지사는 24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책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먼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오염수 방류 대응 TF’를 꾸리고, 방사능을 실시간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TF는 도 해양수산국장이 단장을 맡고, 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과 충남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가 참여하며, ▲총괄지원반 ▲수산물 안전대응반 ▲어업인 지원반 ▲수산물 유통관리반 ▲급식시설 식재료관리반 등 5개반으로 구성한다.
주요 기능은 ▲충남 해역 방사능 측정ㆍ정보 공개 ▲위판장ㆍ양식장 등 생산단계 수산물 안전성 조사 ▲수산물 방사능 조사 실시 및 결과 공개 ▲일본산 수입 수산물 원산지 표시 단속 강화 ▲국내 수산물 소비 촉진 ▲유통식품 방사능 수거 검사 ▲학교급식 식재료 방사능 정밀 검사 ▲IAEA 등 국제ㆍ국내 학술 및 언론 모니터링 ▲가짜뉴스 대응 등이다.
김 지사는 “유감스럽지만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기 시작했다”라며 “현실적으로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보고와 감시 활동을 신뢰할 수 밖에 없고, 일본의 결정을 우리나라가 막을 길이 없다”라고 말했다.
다만 “과학적ㆍ기술적으로 안전하고, 사실상 영향이 극히 미미하다고 해도 우리 국민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불안감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수산물을 기피하게 되면서 우리 어민들과 수산업계는 상당한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충남은 수산물 소비와 가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피해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에 지원을 강력히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정부 차원에서 일본 정부에 피해 지원 대책을 요구하도록 건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