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55곳 3단계 참여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보건복지부가 1일부터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심폐정지, 다발성 장기부전 등 예기치 못한 상태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신속 대응 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시행한다고 밝혔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환자안전 관리체계다.
복지부는 지난 2019년부터 신속대응시스템 1·2단계 시범사업을 진행해 왔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시범사업은 기존 45곳에서 55곳(상급종합병원 38곳, 종합병원 17곳)으로 확대됐다.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은 전문의와 전담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이동식 인공호흡기 등 필수장비를 갖춰야 한다.
참여 의료기관엔 인력배치 수준에 따라 수가(의료서비스 대가)를 차등 지급한다.
참여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해서 모니터링 받을 수 있다.
새롭게 확대된 10개 기관 중 8개 기관은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향후 6개월 내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최종 승인이 확정된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2027년 말 3단계 시범사업이 끝나면 성과 평가를 거쳐 본사업 전환을 검토한다. 본사업을 추진할 땐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더욱 탄력적으로 할 수 있게 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