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4년 런던 사치갤러리(Saatchi Gallery)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10월 런던 프리즈 위크 기간에 사치갤러리에서 열리는 ‘스타트 아트페어’의 첫 국내 위성페어인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2022은 서울 성수동 갤러리아 포레 더 서울라이티움(The Seouliteum)에서 1일 막을 올렸으며, 오는 6일까지 다채로운 전시 및 행사로 관객들과 만난다.
스타트 아트페어를 주관하고 있는 세계적인 미술품 컬렉터 데이비드와 세레넬라(David and Serenella Ciclitira)는 10년 전부터 한국 미술을 수집하고 '코리안 아이(Korean Eye)'라는 전시를 기획하면서 한국 예술을 국제무대에 알려 왔는데, 금번 서울 페어에서도 주최사인 스타트아트코리아와 함께 직접 나서며 작가를 섭외하고 작품을 선정하는 등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시는 기존의 화이트큐브 형식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테마형 부스로 준비됐으며 각 부스는 부드러운 동선을 통해 자유롭게 배치되어 독특한 아트페어 경험과 영국 특유의 감각적인 예술감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점이 눈에 띈다. 전시작품들 가운데는 영국 런던 사치 갤러리와 서울에서 순회 전시회를 지속 개최하며 세계인들에게 한국 미술의 다양성과 예술성을 두루 소개할 예정이다.
참여 작가는 남아프리카에서 야생동물의 사진을 촬영하는 크리스 팔로스(Chris Fallows), 영국에서 활동하는 하티(Harti), 일본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의 애니메이터 요네야마 마이(Yoneyama Mai), 켄타 코바야시(Kenta Cobayashi) 등 글로벌 명성을 가진 작가 200여 명에 달해 규모와 명성에 맞는 작품들을 볼 수 있다. 브랜들러 갤러리스(Brandler Galleries)도 아트페어 대표 해외 갤러리로 참여 중이다.
송민호(Ohnim), 강승윤(Yooyeon), 강희(Hui KANG) 등도 금번 페어를 통해 작품을 공개하기도 했으며, 이 외에도 르네 쿠보스(Rene Cuvos), 필립 흄(Philipp Humm), 데니 테오카라키스(Denny theocharakis), 패러 토마스(Fara Thomas), 카즈키 타카쿠라(kazuki Takakura), 케이타 코지마(Keita Kojima), 노리유키 미사와(Noriyuki Misawa), 유리나 오카다(Yurina Okada), 케인지 사카이(Keinji Sakai), 쇼헤이 야마모토(Shohei Yamamoto), 마리 조던(Marie Jordan), 한나 니스텐(Hannah Nijsten), 데이비드 매기(David Magee), 클리브 몰튼(Clive Morton), 토니 매기(Tony Magee), 데이비드 스터드웰(David Studwell), 주베르 마호메드(Zubair Mahomed), 팟(Pod), 팜(Palm) 등의 글로벌 작가들이 라인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참여 작가들과 함께 하는 아티스트 톡(Artist Talk) 시간도 마련된다. 영국 작가 마크슬로퍼를 비롯해 최소리, 기안84 등 다수의 작가들과 관람객이 만나 작품세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보다 풍성한 관람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스타트아트페어 서울 2022는 인터파크 티켓을 통해 단독판매 중으로, 현재 전시/행사 분야 랭킹 1위를 달성할 정도로 많은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한편, 스타트아트코리아가 해당 페어의 개최를 기념해 초중생을 대상으로 한 학생미술 공모전의 최종 수상자 8명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하고 이들의 작품전시도 별도로 마련했다. 이는 K-ART의 미래를 이끌 주니어 작가들이 대형 글로벌 페어에서 관람객에게 정식 전시작품으로 선보이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받았으며, 해당 수상작들은 10월 사치갤러리에서 개최하는 스타트아트페어에서도 특별전시로 전시하며 미래 한국 미술계를 짊어질 유망주들의 세계 전시경험을 갖도록 할 예정이다.
주최 측 관계자는 “페어 첫 날부터 예상보다 많은 관람객의 방문이 이어져 그간 미술전시에 목 말랐던 국내 예술계의 목마름을 해소해드릴 수 있게 된 것 같다고 본다”며 “금번 스타트아트페어 서울 2022를 계기로 글로벌 작가들의 작품을 많은 분들께 알리고, 반대로 유망한 국내 작가의 명성을 해외에 전파시킬 수 있도록 해 K-ART의 위상을 높이는데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