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완영 전 국회의원 |
한달여 국민의힘 지도부를 뽑기 위해 공식 캠페인에 돌입하고 3월 8일이면 그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번 전당대회의 특징을 보면 첫째, 국민여론조사를 빼고 순수하게 당원 100% 대상으로 투표해 지도부를 선출하는 점.
둘째, 과거와는 달리 당원의 숫자가 84만 정도로 크게 늘었다는 점인데 당원수가 엄청나게 많으니 조직의 힘만으로 당선 여부를 판가름하기에도 어렵다는 평가가 나왔다.
셋째, 윤석열 정부 출범 1년만에 치러지는 것으로 여당으로서 정부 초기이며, 1년 뒤에는 22대 국회의원 총선을 지휘하는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점이다.
넷째, 당원의 연령을 보더라도 보수우파인 국민의 힘에는 주로 장년과 노년이 많았다고 했는데 이번에는 젊은 청년들의 가입이 많이 늘어 보수우파의 지지 당원이 골고루 있어 이러한 탈을 벗었다.
20대에서 40대의 당원이 32%가 되었고 50대가 26%, 60대 이상의 42%를 점하고 있어 전 세대로부터 지지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었다.
끝으로 30여만명의 당원일 때는 영남 지역이 거의 50% 이상이고 특히 TK지역의 비중이 매우 높아서 후보들이 주로 영남 지역을 타깃으로 선거운동을 해왔던 것이 이제는 수도권의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
서울 경기 인천을 합한 수도권의 당원이 43%에 달하고 영남 지역을 40%로 수도권과 영남지역이 대등한 당원 수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당대회의 특징을 감안해 지나온 과정을 회고해보면 당 대표와 최고위원으로서 자격을 갖추었는지 도덕성과 자질에 대한 검증을 위해 치열한 공방이 있었고, 용산 대통령실의 관여 여부를 두고도 말도 많았다.
현역 국회의원이나 당협위원장이 선거에 개입하지 못하는 당의 룰에 의거해 이를 위반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초선의원 배현진, 정희용 등 50여명은 나경원 의원의 출마를 두고 집단적인 연판장을 돌려 국회의원으로서 체면을 구겼다는 보도도 접했다.
나라의 공직을 뽑는 공직선거가 아니라 여당의 수장과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선거이기 때문에 당 지도부의 성격을 제대로 규정하고 선거가 진행되기를 바라는 심정이 간절했다.
선거 기간 중에 전국의 당원들을 만나서 그들의 순수한 의견을 들어보면 당비를 내는 당원들이 얼마나 고마운 분들인 줄 먼저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60세 후반의 어르신이 “내가 30여년을 이 당에 몸담으면서 당비를 내고 있는데 내가 어떤 선출직에 출마하거나, 공직을 맡겠다고 당에 요구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단지 내가 어릴 때 밥을 굶어보았고 학비가 없어 학교도 제대로 다니질 못한 지지리도 가난이란 걸 지내오면서 박정희 대통령이 밥을 먹게 해주고 사람답게 살 수 있게 해주어 오직 국민의 힘 정당에 일원이 되어야겠다는 믿음으로 살아왔다”고 하신 말씀을 들을 때 눈시울을 적신 기억을 떠올린다.
경기도 안산을 방문해 청년 당원을 만났는데 이 청년은 “그간에 민주당에 가입해 민주당을 지지해왔으나 이들이 집권하면 경제를 살려 일자리를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일자리를 줄이기만 했고, 청년들에게 퍼주기식의 정책으로 인기만을 얻으려 했는데 이런 퍼주기는 내 삶에 지속적인 도움이 되지 않음을 깨닫고 국민의 힘 당원에 가입했다”고 알려주었다.
이렇듯이 이제 특정 연령층이 어느 정당을 지지하고 어느 정당을 기피하는 시대는 지나간 것으로 평가된다.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당 지도부가 새로이 구성이 되면 그 이후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또 어떻게 지도부가 잘 운영해 당의 지지도를 올리고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을 올릴 수 있을까 매우 흥미진진하게 관전해볼 포인트이다.
사실 선거기간 중에도 당 대표 선출이후 국민의 힘이 화합과 단결로 선거 후유증이 잘 마무리 되어야 할테데 걱정을 하는 많은 목소리를 들었다.
당 대표 후보로 나선 네 분의 스펙트럼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선출된 당대표가 나머지 세분과 윤상현, 조경태 후보까지 원팀으로 잘 이끌어가기를 기대해본다.
이제 당내 인사들간의 비판의 시각은 접어두고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경쟁의 대상인 민주당을 어떻게 상대해 나가서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정당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아직 1년이나 남은 민주당의 거대의석수에 대응해 윤 정부의 공약이나 어려워지는 경제를 살리기 위한 민생입법을 관철해나가느냐가 엄중한 과제일 것이다.
원내 의원들이 제대로 역할을 해주지 못한다면 정부의 추진동력이 떨어져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 당내 반 지도부의 인사들이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면 이 역시 보수우파의 좌초를 초래할 것은 불 보듯 뻔한 것이다 좌파와 민주당과 일부 언론은 이를 부추기면서 21대 총선처럼 우파의 참패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