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행자부 장관은 이날 1급인사에 대해 이례적으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밝힌 인사원칙에서 “다면평가와 전공무원 대상 여론수렴 결과를 반영했으며 구 총무처와 내무부 출신인사들을 균형있게 기용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비고시·소속기관·지방근무자를 중용했고 행시기수와 연령 지역 학교 과거 근무부서는 참고자료 정도로만 활용했다”며 “지방근무 1급의 진퇴는 지방자치단체장과 협의해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고 덧붙였다.
행자부의 이번 인사에서는 핵심요직인 차관보와 기획관리실장으로 총무처 출신을 기용해 구 내무부와 통합된 후 한번도 장·차관을 배출하지 못했던 총무처 출신들의 상대적인 소외감을 배려한 점이 두드러졌다.
행자부는 인사발표와 함께 최근 실시했던 전 직원대상 인사의견 설문조사 결과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김장관은 앞으로 정부인사를 순환보직제에서 직무위주로 바꿔 잦은 전보를 지양하고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후속 과장급 인사에는 국장들에게 권한을 주겠다고 밝혀 앞으로 타 부처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김두관 장관은 이날 1급인사와 함께 전직원대상 설문조사를 공개하면서 “참여정부의 기본원칙에 맞게 정보를 공유한다는 차원으로 굳이 숨길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공무원직장협의회의 평회원중 대표를 인사위원회에 참여시키려 추진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행자부 직원 785명중 56%가 1급 사표수리에 대해 찬성했고 반대는 26%였다.
핵심과제 추진에 꼭 필요한 공무원, 차관보·기획관리실장·민방위재난통제본부장 등 본부 1급 적임자로는 박명재 전기획관리실장, 권오룡 차관보, 권욱 민방위재난통제본부장 등의 이름이 여러 문항에서 중복 거명됐다.
행정개혁과 지방분권을 추진할 적임자에 대해서는 직원들이 가장 많이 지목한 인사가 실제 인사에 반영됐다.
그러나 이번 여론조사 결과 총무처와 내무부 출신 직원들은 각각 같은 출신 인사들에게 몰표를 던진 것으로 드러나 여론조사 결과를 그대로 인사에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다소 ‘인기투표’식으로 흘렀다는 지적도 있었다. 또 이번 인사에서는 소청심사위원장(차관급), 국가전문행정연수원장(1급) 자리는 제외됐다.
서정익 기자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