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최근 환경부와 국정홍보처가 여론조사기관인 (주)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데서 밝혀졌다.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15.6%가 거주지역의 대기오염 상태를 매우 심각하게, 44.5%는 어느 정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답했다.
이를 뒷받침이라도 해주듯 우리나라가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02 세계경제포럼(WEF)’의 환경지속성지수 평가에서 142개국 중 최하위권인 136위를 기록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에 속했다고 한다.
또 최근 파리에서 열린 OECD 경제검토위원회의 한국경제검토회의에서도 한국은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기오염이 심각해 경유사용 차량 배기가스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 받았다.
이처럼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환경오염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는데도 정작 우리 정부는 ‘강건너 불 보듯’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는 이번 조사에서 대기오염을 낮추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9%가 노력하지 않는다고 평가, 정부의 개선 노력이 미흡하다고 지적한데서도 알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이 과연 자연환경을 보호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환경친화적’이라는 단어를 내세워 이익만 채우려는 것인지 도통 알 수 없다하겠다.
또한 정부는 한술 더 떠 경유 승용차 판매를 오는 2005년부터 시행키로 확정하면서 환경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오염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이산화질소는 오염의 주범이 자동차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 가운데 특히 디젤엔진차의 배출가스는 환경오염에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휘발유 가격의 56% 수준인 경유 승용차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낮추면서 상대가격을 조정하지 않는다면 대기오염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다시 되돌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되돌린다해도 수많은 시간과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
21세기는 환경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시대다.
좁은 국토에 비해 인구수가 많은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환경용량이 열악한 것은 사실이다.
정부는 그동안 경제개발이란 명목아래 뒤쳐져 있던 환경에 이제는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