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복지부동의 공직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고육책’이라는 해석과 `전체조직에서 개혁세력을 따로 추려내는 것은 조직의 통합을 저해하고 결국 실패할 것’이라는 엇갈린 해석과 반응이 나왔다.
그러나 국·과장급을 포함한 실무 공무원 상당수는 언급 내용이 추상적이라는 이유로 “진의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어떤 맥락에서 그런 얘기가 나왔나”,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라며 평가를 유보했다.
익명을 요구한 중앙부처의 한 과장은 “조직에서 맡은 일을 책임지고 열심히 일할 사람을 만들어 놓겠다는 뜻으로 들린다”며 “경제회생 등 국정현안을 처리하려면 공직사회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하고 70~80년대처럼 신명나게 일하는 조직으로 전환돼야 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못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무원 사회가 무사안일하고, `철밥통’이고, 신상필벌이 명확하지 않은 점이 있는 만큼 대통령이 얼마나 답답했으면 저런 발언까지 했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여성부 관계자는 “`코드’가 맞는 소수를 중심으로 따라오지 않는 사람들까지 억지로 끌고가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정부의 국정운영 원칙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밖에 “선택된 소수를 중심으로 조직을 움직이려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므로 개혁 마인드가 없는 공무원을 `털어내고’ 나머지를 적재적소에 배치해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정도”라는 `대안’도 제시됐다.
서정익 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